한화로보틱스(대표이사 서종휘)가 우아한형제들 자회사 비-로보틱스(대표이사 김민수)와 ‘외식업 자동화 솔루션’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일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각자의 대표 제품을 바탕으로 외식 사업 자동화 매장을 추진하기 위해 성사됐다. 앞으로 한화로보틱스의 협동로봇과 비-로보틱스의 서빙로봇은 양사 간 사업 확대를 위해 상호 보완적 영업활동을 이어간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영업 정보 공유 △로봇 통합 상품 구성 △현장 테스트 상호 지원 등이다. 한화로보틱스는 2017년 국내 최초 협동로봇을 상용화한 이후 와인 브리딩 로봇, 바리스타 로봇 등 다양한 푸드테크 기술을 선뵀다. 국내에 3100대 이상의 서빙로봇을 보급해온 비-로보틱스와 협업함으로써 주방과 홀을 포함한 전체 매장 자동화가 가능하다. 한화로보틱스는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외식사업 공략에 나선다. 서종휘 한화로보틱스 대표이사는 “사람이 편하게 일할 수 있는 세상을 추구하는 두 회사의 비전이 일치해 이번 협약이 성립되었다.”며 “한화로보틱스와 비-로보틱스가 보유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푸드테크 서비스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동시에 이뤄내겠다.”고 전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영업시간 제한으로 많은 외식업소들이 인력난과 매출 감소라는 운영의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인건비 상승과 함께 ‘사람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가 된 만큼 이를 해결해줄 수 있는 방안에 많은 고심을 하고 있는 터. 이에 일부 매장에서 선도적으로 LG 클로이 서빙로봇을 사용하며 인력난을 해소하고 있다. LG 클로이 서빙로봇 더욱 정확하고 안전하고 프로답게 최근 호스피탈리티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로봇들이 속속 선보이고 있다. 특히 서빙로봇의 출시가 많은데 서로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하고 장애물을 감지하며 고객들의 선택을 기다리는 가운데 이중에서도 LG 클로이 서빙로봇(CLOi ServeBot)이 사용자 환경 중심의 편리한 사용감으로 고객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LG 클로이 서빙로봇은 타사 서빙로봇들과 달리 사람의 눈과 같은 3D 카메라와 라이다 센서로 공간을 인식, 경로를 파악해 층고가 높거나 좁은 공간, 복잡한 인테리어에서도 자유자재로 정확하게 이동한다. 또한 낮은 장애물을 감지하는 3D 카메라 센서와 근거리 또는 갑자기 다가오는 장애물도 안정적으로 피하는 ToF 센서가 있어 아주 작은 장애물까지 피해서 안전한 자
비대면, 언택트 시대에 들어서면서 레스토랑에도 로봇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비교적 자동화가 덜 돼 서비스 인력 의존도가 높았던 외식업장에 자동화 기술을 접목,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만족도는 제고할 수 있는 서빙 로봇이 탄생한 것이다. 바로 베어로보틱스의 자율주행 서빙 로봇, ‘서비(Servi)’다. 서비는 주로 자동차에 적용돼 왔던 자율주행 기술을 서빙에 대입시켜 레이저를 이용하는 센서와 3D 카메라를 통해 좁은 실내에서도 스스로 주행이 가능한 기능을 갖췄다. 직원의 업무 지원을 통해 불필요한 시간과 에너지 낭비는 줄이고, 보다 근본적 외식업 본질의 가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서빙 로봇. 고객(Customer)과 직원(Employee), 오너(Owner)가 모두 만족할 새로운 맨파워 직원 서비를 소개한다. 외식업의 자동화에 앞장설 서빙 로봇 외식업의 본질은 ‘맛’과 ‘서비스’에 있다. 그런데 그동안 외식업계는 비본질적인 일에 생각보다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허비하고 있었다. 레스토랑에서 서빙을 하다 보면 하루 평균 8~15km 정도를 걷게 되는데, 이 상당한 노력이 외식의 본질을 이행하는 것보다 그저 음식을 실어 나르는 정도의 단순노동에 소모됐기 때문이
비대면, 언택트 시대에 들어서면서 레스토랑에도 로봇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비교적 자동화가 덜 돼 서비스 인력 의존도가 높은 외식업장은 갈수록 높아지는 인건비에 비해 단순 업무가 많아 노동력의 효율성은 떨어질대로 떨어진 상황이다. 맥킨지 리포트에 따르면 식당에서 일어나는 서버의 업무 중 73%는 기술을 통해 자동화가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까지 발표돼 기술 도입을 고려하는 레스토랑들이 생기고 있다고 한다. 이에 서빙에 자동화 기술을 접목,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만족도는 제고할 수 있는 서빙 로봇이 탄생했다. 바로 베어로보틱스의 자율주행 서빙 로봇, ‘서비(Servi)’다. 서비는 주로 자동차에 적용돼 왔던 자율주행 기술을 서빙에 대입시켜 레이저를 이용하는 센서와 3D 카메라를 통해 좁은 실내에서도 스스로 주행이 가능한 기능을 갖췄다. 직원의 업무 지원을 통해 불필요한 시간과 에너지 낭비는 줄이고, 보다 근본적 외식업 본질의 가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서빙 로봇인 것이다. 베어로보틱스 하정우 대표는 고객은 로봇을 보러 레스토랑에 오는 것이 아니라, 보다 최상의 맛과 서비스를 기대하고 레스토랑에 방문한다며, 로봇은 레스토랑의 고객(Customer)과 직원(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