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크 하얏트 서울에서 2023년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을 맞아 감사의 마음과 행운을 담은 페스티브 럭키백을 200개 한정 수량으로 선뵌다. 페스티브 럭키백은 매 시즌 조기 품절되는 베스트셀링 아이템으로, 이번 페스티브 럭키백에는 기본 아이템으로 객실 바우처 1매를 포함해 다양한 다이닝 바우처 중 2개를 시크릿 혜택으로 담아 총 3매의 호텔 바우처를 준비했다. 특히 객실 바우처는 파크 하얏트 서울 스탠다드 객실 이외에 최고 행운의 주인공 2명에게 파크 하얏트 서울의 프리미엄 스위트 객실인 디플로매틱 스위트에서의 1박 투숙 혜택 또는 조식이 포함된 파크 하얏트 방콕 객실 2박 투숙 혜택이 주어진다. 그밖에도 호텔 레스토랑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다이닝 크레딧 바우처부터 정통 이탈리안 레스토랑 코너스톤의 런치 또는 디너 코스 식사권을 포함한 다양한 식사권과 돔페리뇽을 포함한 와인 교환권, 케이크 이용권 등과 최고층의 화려한 도시 전망을 자랑하는 더 라운지의 와인 페어링이 포함된 런치 또는 디너 코스 식사권, 애프터눈 티 세트 이용권, 그리고 바이닐 레코드 바 & 레스토랑인 더 팀버 하우스에서의 사시미 세트와 사케 1병 등 풍성한 혜택을 담았다. 12월 30일, 31일 단 이틀간 판매하며, 호텔 2층에서 코너스톤에서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선착순으로 한정 수량으로 1인 10개까지 구매 가능하다. 페스티브 럭키백의 가격은 60만원이다. 준비된 페스티브 럭키백이 모두 소진된 경우 이벤트가 조기 종료될 수 있으며, 종료 안내는 파크 하얏트 서울 카카오톡 채널과 인스타그램을 통해 안내될 예정이다. 하얏트 월드 멤버십 회원이면서 럭키백을 구매한 고객이라면 다이닝 포인트 적립도 누릴 수 있어 행운의 기회와 포인트 적립의 찬스도 동시에 챙길 수 있다. 2024년을 시작하기에 앞서 행복을 선사할 풍성한 럭키백으로 기분 좋은 행운을 잡아보자. <파크 하얏트 서울, ‘2023년 럭키백’> ■ 판매 일시: 2023년 12월30일 – 2023년 12월31일 ■ 판매 장소: 파크 하얏트 서울 2층 코너스톤 ■ 구성 및 가격 (부가세 포함 / 봉사료 없음): 60만원 (200개 한정 판매 / 1인당 최대 10개 구매 가능) - 시크릿 혜택 (바우처 3매 랜덤 제공: 객실 숙박권 1매, 다이닝 이용권 2매) 객실 숙박 바우처1매 랜덤 제공 파크 하얏트 서울 : - 디플로매틱 스위트 1박 - 스탠다드 객실 1박 ※ 바우처 이용 기간: 2024년 1월 1일 – 2024년 6월 30일 (숙박권 이용 제외 기간: 매주 금요일, 토요일) ※ 모든 바우처 이용시 사전 예약 필수 ※ 객실 상황에 따라 바우처 예약 사전마감될 수 있음 파크 하얏트 방콕 : - 스텐다드 객실 2박 (조식 포함) ※ 바우처 이용 기간: 2024년 10월 1일까지 (숙박권 이용 제외 기간: 매주 금요일, 토요일) ※ 모든 바우처 이용시 사전 예약 필수 ※ 객실 상황에 따라 바우처 예약 사전마감될 수 있음
호텔 테크 스타트업 열한시(대표 이동희)는 생활형 숙박시설 운영사 하우스사라와 클리닝 업무에 관한 중요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열한시는 SaaS 기반으로 숙박시설 하우스키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텔 테크 스타트업이다. 호텔 클리닝 수요와 객실청소 인력을 매칭하는 하우스키퍼 중개 플랫폼 ‘키퍼(keeper)’를 운영하며, 2천 명 이상의 하우스키퍼와 함께 전국 23개 지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열한시는 하우스사라의 위코스테이 명동점・강남점・영종도점에 생활형 숙박시설 특화 클리닝 서비스를 제공한다. 총 400여 개 객실의 클리닝을 열한시가 전담하며, 키퍼(Keeper) 플랫폼 도입으로 △ 실시간 객실청소 현황 파악, △ 객실 검수, △ 유연한 하우스키퍼 공급 등 효율적인 호텔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열한시는 이번 파트너십으로 PMS(Property Management System, 호텔 자산 관리 시스템) 없는 숙박시설에 키퍼 플랫폼을 도입한 첫 사례를 만들기도 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고객사가 호텔 경영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추후 하우스사라가 운영하는 위코스테이 동대문점 등으로도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이다. 이동희 열한시 대표는 “열한시의 클리닝 노하우를 새로운 고객사와 함께 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 하우스사라 뿐 아니라 객실을 방문하는 숙박객에게도 청결한 객실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장호진 하우스사라 대표는 “생활형 숙박시설 클리닝 노하우를 갖추고 있는 열한시와의 파트너십에 기대하는 바가 크다. 이번 기회에 클리닝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더욱 향상된 숙박 경험을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은 2014년 이후로 2023년 현재까지 매거진 내의 기사들을 홈페이지에도 송출하고 있다. 기자들이 직접 취재하는 기획 기사뿐만 아니라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칼럼부터 호스피탈리티업계 관계자들이 관심 있을 법한 보도자료까지 총망라해 실무에 도움이 될 인사이트를 전달하는 중이다. 그렇다면 이 중에서도 독자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본 기사는 무엇일까? 2022년 12월부터 2023년 11월까지의 조회수를 살펴봤다. 온라인으로 만나볼 수 있는 매거진 2023년 11월을 기준으로 <호텔앤레스토랑> 홈페이지에 접속한 방문자는 한 해 동안 137만 8959명이다. 월별로는 새해를 맞이한 1월과 5월, 10월이 높았으며 2022년 12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송출된 기사는 총 986건이다. 이렇듯 기획, 칼럼, 보도자료 등 유의미한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2023년이 끝나가는 지금 유독 관심도가 높았던 기사를 살펴보며 2023년을 되새김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작년기획 ‘[HR Ranking]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 홈페이지를 통해 살펴본 올해의 인기 기사’에서 2022년 1월 1일부터 11월 18일까지를 망라했다면 올해는 총 4분기로 나눠 흐름을 읽으려 한다.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 기획기사 조회 수 Top 10 올해 조회 수 상위권에는 식품 외식 전망 및 K-콘텐츠에 대한 기사가 다수 랭크됐다. 하늘길이 재개되면서 인바운드 유치 전략을 세우는 상황에서 요새 떼려야 뗄 수 없는 소재, K-컬처, K-푸드 등으로 대변되는 K-콘텐츠가 특히 인기를 모았던 것으로 보인다. 넷플릭스나 K-Pop 등이 전 세계를 종횡무진하면서 한국의 인지도가 상승하고, 이전과 다른 해외 관광객들의 패턴을 읽으려는 시도로 읽히기도 한다. 또한 호텔을 다시 재건하는 상황 속 건강한 수익구조를 재건하는 가격 결정, 호텔의 공간 정비 및 친환경 브랜딩, 럭셔리 서비스 등 전반적으로 콘셉트에 인사이트를 주는 기사들이 관심을 모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01 [신년 특집Ⅲ. 2023 Dining Trend] 2023 식품·외식 전망 02 [Tourism Feature] 한류를 넘어 K-컬처, 한류관광에서 K-관광으로! 콘텐츠 투어리즘, 그리고 문화관광마케팅을 이야기하다 03 [신년특집 Ⅱ. 2023 Hotel Trend] 무난함은 곧 애매함이 되는 시대, 알파세대와 함께 디깅모멘텀의 공간력을 확보하라 04 [Dining FeatureⅠ] 전 세계인들의 사랑 받는 K-푸드 05 [Tourism Feature] 전 세계적 영향력 과시하고 있는 K-컬처, 경쟁력 있는 콘텐츠 기반으로 K-관광 도모하다 06 [Feature Ⅰ] 호텔의 가치 좌우하는 가격 결정(Pricing), 건강한 수익구조 재건 위한 가격 정책의 쇄신 요구되다 07 [Local Networks] 강원특별자치도, 야간관광 인기지역 08 [Hotel Insight] 공간력의 호텔, 페르소나 공간으로 진화하라! 환상 그 너머의 공간으로 거듭나다 09 [Hotel ESG] 친환경 호텔 브랜딩, 소비자 심리와 행동 분석으로 유의미한 전략을 증명한다 10 [Hotel Insight] 럭셔리 서비스의 최정점, 버틀러 Top 1 지난해 말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2023 식품외식산업 전망대회’를 진행했다. ‘식대전환의 시대, 식품외식산업의 도전과 미래’라는 대주제 아래 친환경, 미래식품, 빅데이터, 편의점 데이터사이언스, ECO레스토랑, 신개념 고객서비스에 대한 강연은 물론 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윤은옥 부장이 ‘2023 외식 트렌드’를,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문정훈 교수가 ‘푸드 트렌드 2023’을 발표하며 2023년 식품·외식산업의 트렌드를 전망했다. - [신년 특집 Ⅲ. 2023 Dining Trend] 2023 식품·외식 전망 Top 2 어떻게 보면 문화와 관광은 이미 떼려야 뗄 수 없는 서로 간에 필수불가결한 존재다. K-컬처의 영역도 비단 문화콘텐츠뿐만 아니라 전반을 아우르는 문화의 측면에서 접근해 보면 관광과 시너지를 이룰 수 있는 분야도 무궁무진하다. 다만 지금까지 융합의 영역까진 나아가지 못한 아쉬움을 교훈 삼아 K-관광만큼은 관광대국으로 가기 위한 콘셉트가 부족했던 한국에 새로운 브랜드가 되기를 바라본다. - [Tourism Feature] 한류를 넘어 K-컬처, 한류관광에서 K-관광으로! 콘텐츠 투어리즘, 그리고 문화관광마케팅을 이야기하다 Top 3 실제 2023 소비 트렌드를 전망한 <트렌드 코리아 2023>, <트렌드 모니터 2023>, <Z세대 트렌드 2023>에서 키워드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강조한 것이 ‘중간은 없다’는 것이다. ‘평균 실종’, ‘버티컬 취향’, ‘디깅소비’의 키워드로 표현된 올해 소비는 한마디로 특정 집단으로 갈무리할 수 없이 제각각의 취향과 제각각의 패턴이 예상된다.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곱의 법칙으로 분화되는 무수한 니즈를 적재적소에 공략함은 물론, 소비자도 모르고 있는 그들의 숨은 욕구를 소비로 전환해주는 전략이다. - [신년특집 Ⅱ. 2023 Hotel Trend] 무난함은 곧 애매함이 되는 시대, 알파세대와 함께 디깅모멘텀의 공간력을 확보하라!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 전체기사 조회 수 Top 4 # 1분기(2022년 12월~2023년 2월) 1분기는 신년인 만큼 새로이 오픈하고, 리뉴얼하고, 인사가 선임되는 등 바뀌는 것들이 많다. 조회 수 또한 신년 특집 및 새로 부임하는 임원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외식업계의 트렌드를 조망하는 지면, 트렌드 코리아 2023을 토대로 직관적인 인사이트를 전달,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는 기사, 공간을 다채롭게 구성할 수 있는 조명 칼럼, 새로이 선임된 젊은 총지배인에 관한 기사가 독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기획 공통적으로 2023년 외식 트렌드의 특징으로 코로나19, 경기불황, 인구감소, 기후변화 등 글로벌 이슈 확대로 국내외 트렌드가 유사하다는 것, 런치플레이션, 양극화, 레스플레이션 등 불황 관련 키워드가 공통으로 손꼽혔으며 팬데믹으로 확장된 의미의 오프라인 공간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이 두드려졌다. 또한 간편식과 언택트, 푸드테크, 배달 등 코로나 트렌드, 푸드테크 혁명, 외식형 간편식의 확대, 포모신드롬 등 트렌드 간의 연계와 융합, 강화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 [신년 특집Ⅲ. 2023 Dining Trend] 2023 식품·외식 전망 中 <트렌드 코리아 2023>은 올해의 타이틀 키워드를 ‘RABBIT JUMP’로 삼았다. 위기로 일컬어지는 새해를 맞았지만, 잘 듣고, 잘 보는 영민한 토끼처럼 지혜롭고 유연하게 뛰어올랐으면 좋겠다는 소망을 담았다고 한다. 호텔도 내국인 호캉스 호재와 인바운드 활성화의 기로에서 올해가 앞으로의 비즈니스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RABBIT JUMP의 바람처럼 호텔도 웅크렸던 만큼 더 높이 도약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 [신년특집 Ⅱ. 2023 Hotel Trend] 무난함은 곧 애매함이 되는 시대, 알파세대와 함께 디깅모멘텀의 공간력을 확보하라! @칼럼 조명에서 나오는 빛은 단순히 보이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심리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친다. 음식점 또한 마찬가지다. 어떠한 조명을 설치하는지에 따라 음식을 맛보는 고객들의 경험 또한 달라지게 되며, 조명전문가들은 레스토랑 조명에 관해서 이러한 말을 하곤 한다. “음식은 주방에서 만들고 테이블 위의 조명에서 완성된다”. 이렇듯 조명은 고객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외식업장을 운영하는 업주들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다. 이 기사에서는 레스토랑의 업주들이 조명을 설치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Dining Column] 음식이 2배 더 맛있어 보이는 실내 인테리어 조명 - 심화편 @보도자료 라이즈 오토그래프 컬렉션(이하 라이즈 호텔)은 보람 박(Boram Park)을 총지배인으로 선임했다. 보람 박 신임 총지배인은 1988년생 만 34세로 국내 32개 메리어트 계열 호텔 중 최연소 총지배인이다. 한국 태생 뉴질랜드 국적으로 2010년부터 12년간 뉴질랜드, 호주, 태국, 베트남, 일본 등 아코르 그룹의 3~5성급 호텔에서 다양한 규모와 환경을 경험한 호텔 전문 경영인이다. - 라이즈 호텔, 메리어트 계열 최연소 보람 박 총지배인 선임 # 2분기(2023년 3월~2023년 5월) 본격적인 올해의 전략을 수립하고 한창 업장을 운영 중인 2분기에는 콘셉트와 그 공간에 관한 기획 기사가 많았다. 특히 K-콘텐츠에 관한 내용이 상위권이었는데, 한국의 K-콘텐츠를 보다 이해한 뒤 업장에 적용하고, 관련 인사이트를 얻으려는 니즈가 아니었을까? 또한 도시를 브랜딩 해 관광의 매력을 올린 사례를 소개한 칼럼 및 새로이 오픈한 호텔의 레스토랑 오픈 소식 또한 눈길을 끌었다. @기획 여기서 중요한 것은 K-컬처가 단순한 관광의 도구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K-Pop 스타들의 영향력이 세지자 대중문화를 활용한 정책행사의 남발, 정치적 목적의 이용 등의 사례가 많아지며 보는 이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문화관광은 국가 브랜딩 제고의 측면에서 주요한 마중물이며, 그 자체가 갖는 파급력이 크다. 겉으로 보여지는 문화콘텐츠의 화려함에 취해 본질적 가치를 훼손하고, 1회성의 콘텐츠로 소모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다. 무엇보다 마케팅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이유다. - [Tourism Feature] 한류를 넘어 K-컬처, 한류관광에서 K-관광으로! 콘텐츠 투어리즘, 그리고 문화관광마케팅을 이야기하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모호해진 뉴리테일 시대에는 공간력을 갖춘 페르소나 공간이 중요해진다고 한다. <더현대 서울 인사이트>는 더현대 서울이 공간디자인, MD, 커뮤니케이션, 리테일테크, 조직문화 등 모든 국면에서 매장을 페르소나화하는데 성공했다고 분석한다. 그리고 그 이유는 더현대 서울 자체의 페르소나가 명확했기 때문이라는 결론이다. 지극히 개인화된 정체성 혼돈의 시대에, 자기 정체성을 반영할 수 있는 페르소나 공간에서 자신과 동일시 할 수 있는 확고한 취향을 바탕으로 구매가 이뤄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 [Hotel Insight] 공간력의 호텔, 페르소나 공간으로 진화하라! 환상 그 너머의 공간으로 거듭나다 @칼럼 호반(湖畔)의 도시 춘천(春川)은 한자에서 알 수 있듯이 ‘봄이 오는 시내’란 예쁜 이름으로 단순한 지도상의 지역이 아니라 모든 이에게 청춘의 이정표 같은 상징성을 가진다. 안개 가득한 호수와 봉긋한 산들이 감싸주는 춘천은 그곳이 고향인 이들이나 한두 번 다녀온 이방인들에게도 수채화 같은 추억을 선물한다. 서정적인 아름다움만이 아니라 1968년 송병덕 의학박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약 180여 명의 박사를 배출한 춘천시 서면 박사마을을 비롯, 이곳을 거쳐 간 관료 중 출세한 이들이 많아 ‘입춘대길(入春大吉)’, 즉 춘천을 다녀와야 좋은 일이 생긴다는 신조어가 탄생할 만큼 행운의 도시로도 불린다. - [Local Networks] 호반의 도시, 춘천 - 커피문화도시를 꿈꾸다 @보도자료 힐튼 산하의 풀서비스 업스케일 호텔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가 올 데이 다이닝 레스토랑 ‘데메테르(Demeter)’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호텔 1층에 위치한 ‘데메테르’는 총 250석 규모로 지역적 특색을 살린 다양한 특급요리를 마음껏 즐길 수 있는 컨템포러리 뷔페 & 다이닝 콘셉트의 다국적 레스토랑이다.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 뷔페 & 다이닝 레스토랑 ‘데메테르’ 오픈 #3분기(2023년 6월~2023년 8월)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했으면 좀 더 고도화를 시킬 방책이 필요하다. 또한 관광 성수기인 6~8월은 호텔의 가격 정책이 더욱 다이나믹하게 변하는 상황이고, 그동안 새로운 고객을 맞이했으니 기존에는 보기 어려웠던 새로운 전략을 살피기도 한다. 실제로 3분기에는 국내 호텔에서 거의 자취를 감춘 버틀러 서비스를 다룬 기획 기사 및 그동안 발굴되지 않았던 지역인 세종시에 관한 기획 기사, 호텔 성급에 따른 가격과 판매율을 분석한 칼럼, 그리고 오픈을 앞둔 호텔의 대규모 채용설명회 기사가 순위권에 랭크됐다. @기획 객실 단가가 높거나 럭셔리 리조트에 존재하는 버틀러는, 호스피탈리티 서비스 중에서도 그야말로 최정점의 VIP 서비스에 해당한다. 객실 당 직원이 배정돼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선사하고, ‘안 되는 것도 되게 한다’라는 모토로 고객의 요구를 들어주는 것은 기본이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녹인 서비스를 선보이며 각 호텔의 개성과 가치를 그대로 느끼게 만드는 첫인상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 버틀러 서비스를 제대로 선보이는 곳이 없다. VIP가 방문했을 시 임시적으로 다른 부서에 속한 호텔리어가 버틀러 서비스를 선보일 때도 있지만, 말 그대로 ‘버틀러 서비스’일 뿐 버틀러팀에 소속된 것은 아니다. - [Hotel Insight] 럭셔리 서비스의 최정점, 버틀러 행정수도, 계획도시라는 이미지 때문에 자칫하면 무겁고 특별한 색이 없는 도시처럼 느껴질 수도 있지만 세종시 구석구석에는 공원과 수목원 등 즐길 만한 관광지가 조성돼 있다. 지난 2022년 세종시를 찾은 관광객은 총 165만 4000명이며 이는 2021년 81만 4500명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물론 10년의 짧은 역사를 지녔기에 기획 중인 부분이 많지만, 그 안에서도 여러 전략을 수립하며 고도화 시키는 중이다. - [Map of Hotel] 발전 가능성 무궁한 세종시, 체류하고 싶은 관광지로 만들어 나간다 @칼럼 엔데믹 전환 이후 방한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호텔업이 지속적인 회복세 들어서고 있는 지금. 국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세분화된 고객 타깃팅과 마케팅 전략이 필요한 시기다. 이에 지역별 2~5성급 호텔의 객실 판매가 및 판매율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시장 수요에 따른 호텔 가격 변화, 그리고 실제 판매율과의 상관관계는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 첫 번째 시간으로 이번 호에서는 2023년 2분기 서울시 중구 소재 2~5성급 호텔 43개의 국내·외 OTA 판매 객실 최고·평균·최저가와 판매율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했다. - [이창주의 Hotel Data] 호텔 성급에 따른 ‘가격’과 ‘판매율’ 분석 @보도자료 전체 3층으로 구성된 행사장에서는 인스파이어 브랜드 비전과 각 직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체험존, 현직자 및 채용 담당자와 직무 상담, 채용 인터뷰 공간 등이 마련돼 참가자는 상담 후 지원서를 작성하고 곧바로 면접에 응시할 수 있다. 또한 전시, 포토이벤트, 직무와 관련된 미션게임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이 제공돼 친근하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채용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 - 모히건 인스파이어, 대규모 채용설명회 개최와 함께 공개채용 모집 #4분기(2023년 9월~2023년 11월) 한 해를 마무리하는 4분기에는 앞으로의 관리 방안 및 전략, 그리고 가을과 겨울을 맞이하며 관광하기 좋은 장소를 알리는 기사들이 다수 랭크됐다. 호텔의 채널이 다변화하고 그 수도 많아지면서 향후의 대책을 알아보는 기사 및 현재 전 세계의 디지털 전환의 흐름을 읽고 미래를 추측하는 기사, 및 꾸준히 수요가 있는 야간관광, 그리고 가을을 맞이해 풍경이 매력적인 메이필드호텔 서울의 가을 산책 보도자료가 올랐다. 특히 보도자료와 같은 경우, 올해 기사 순위에서도 높은 조회수를 차지하고 있어 야외에서 즐길 수 있는 구경거리에 독자들의 관심도가 집중되는 모양새다. @기획 호텔의 판매 창구가 다각화 되고 있다. 이전에는 OTA와 호텔 홈페이지, 유선으로 호텔의 정보를 알아보고 객실 및 F&B 등의 부대시설을 알아봤다면 지금은 카카오 선물하기나 쿠팡, G마켓, 인터파크, 네이버 등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확대됐다. 이커머스 플랫폼은 무엇보다도 플랫폼에 맞는 차별화와 새로운 콘텐츠가 중요한데, 이는 호텔에서 빼놓을 수 없는 플랫폼인 OTA도 마찬가지다. 가격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이제는 가격이 아니라 콘텐츠와 특별함으로 무장한 전략이 중요해진 상황인 것. 이에 판매 채널을 보다 고도화 시키려는 호텔의 노력이 이어지는 중이다. - [Hotel Feature] 다변화한 호텔의 판매 채널, 관리 방안 모색하다 이처럼 2023년 현재 디지털 전환은 각 나라의 실정에 맞게 조금씩, 다양하게 진행되는 중이었다. 특히 한국은 IT 강국으로서 다른 나라에 비했을 때 느리지 않았다. 다만 기술에 비해 인식하는 속도가 느릴 뿐이었다. 본격적으로 코로나19의 여파가 줄어든 현재, 앞으로 디지털 전환을 더욱 잘 견인하고 각 나라의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시너지를 얻을 수 있는 업계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 [Hotel DT] 전 세계의 디지털 전환은 어떻게 움직이고 있을까? @칼럼 강원특별자치도 주요 관광지로는 강릉의 야시장과 속초 설악산 인근, 동해 묵호, 춘천, 평창, 정선, 삼척 등이 꼽힌다. 이들 지역은 야경뿐만 아니라 축제, 전통시장 투어, 야간 트레킹과 숙박, 반딧불이 투어 등에 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은 체류형 관광객을 늘려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으로 ‘야간관광 특화’에 나서고 있다. 볼거리 많은 야간경관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내세워 ‘밤손님’을 끌어들이겠다는 전략이다. - [Local Networks] 강원특별자치도, 야간관광 인기지역 2위 @보도자료 강서구에 위치한 5성 메이필드호텔 서울은 약 10만㎡(약 3만 2,000평)의 넓은 부지 위에 단풍이 가장 아름다운 대왕참나무부터 단풍나무, 은행나무, 화살나무, 생강나무, 벚나무 등 60여 년간 정성껏 키워내 다채로운 수목이 자리하고 있어, 단풍 명당으로 유명하다. 여기에 서울 도심에서는 만나기 힘든 70여 종의 꽃들로 가득한 정원과 울창한 단풍 숲길로 이어지는 산책로가 더해져 ‘숲속의 호텔’에 들어온 것 같은 분위기를 선사한다. - 단풍 명당 메이필드호텔 서울, 가을 산책과 예술을 함께 즐긴다! 지금까지 2023년 <호텔앤레스토랑> 홈페이지의 조회 수 Top 기사를 분기별로 알아봤다. 분석 결과, K-컬처나 버틀러 서비스 등 기존에는 없던 시도에 관한 조회 수가 높았다. 또한 공간을 기획하는 기사들도 인기가 많았는데, 이는 업장의 콘셉트를 정비하고, 시각적인 요소를 강화하고 싶어 하는 관계자들의 니즈로 보인다. 만발하는 K-콘텐츠처럼 시각적으로 돋보이는 테마를 구성해 고객들과 소통하려는 것이 아닐까? 이에 Feature 지면의 강세도 두드러진다. 다른 지면에 비해 보다 깊은 내용을 담고 있는 Feature 기사는 보다 높은 집중도를 요하기에 인사이트 및 트렌드 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회 수가 낮은 편이었으나, 2023년에는 콘셉트를 다각도로 조망하는 기사를 다루면서 상위권에 대거 랭크됐다. 전통의 강자인 인사이트와 트렌드 기사 또한 <트렌드 코리아 2023>과 유수의 전문가들과 인터뷰를 진행, 심도 깊은 내용을 다루며 관심을 모았다. 앞으로도 <호텔앤레스토랑>은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 및 다양한 비전을 읽어내는 업계 최고의 전문지로 불철주야 달려 나갈 예정이다. 관계자들이 관심 있을 법한 심도 깊은 기사와, 실시간으로 업계의 소식을 전하는 보도자료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2024년에도 업계와 함께 호흡하며 달려 나갈 예정이니 지면뿐만 아니라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호텔앤레스토랑>의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어가기를 바란다.
글로벌 여행 마켓플레이스 스카이스캐너가 자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인 여행객의 2023년 올해의 여행’을 공개했다. 올해 한국인 여행객들이 가장 사랑한 여행지는? 일본 오사카·태국 방콕·베트남 다낭[1] 올 한 해 한국인 여행객들이 가장 많이 찾은 해외여행지는 일본 오사카다. 한국에서 비행시간 약 2시간 내 외면 방문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고, 식도락과 쇼핑, 문화, 테마파크 등 다채로운 즐길 거리가 있어 많은 한국인 여행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스카이스캐너에 따르면, 실제로 한국인 여행객들의 오사카 항공권 검색량은 1,670% 증가한 바 있다.[2] 한편, 태국 방콕과 베트남 다낭이 뒤를 이으며 비교적 가깝고 물가가 저렴한 동남아시아 여행지에서 부담 없이 휴가를 즐기려는 여행 수요를 이어갔다. 스카이스캐너의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인 여행객들이 올해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항공권을 구입할 수 있었던 여행지는 일본 오이타였다. 오이타는 2023년 평균 왕복 항공권 가격이 약 21만원 으로 가장 저렴했다. 또한, 한국발 여행객들을 위한 가장 저렴한 3성급 호텔은 캄보디아 프놈펜에 위치한 호텔로 1박 평균 3만 3천 원이었다. 아울러, 폴란드의 아름다운 옛 수도 크라쿠프에서는 1일 평균 2만 6천 원으로 가장 저렴한 렌터카를 대여할 수 있었다. 스카이스캐너 여행 트렌드 및 데스티네이션 전문가 제시카 민(Jessica Min)은 “한국인 여행객들은 2023년 한 해 동안 접근성이 좋은 일본과 동남아시아 여행을 선호했다. 한국인 여행객들은 여전히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기억에 남을만한 특별한 여행 경험을 추구하는 특성 또한 강하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인 여행객의 80%는 2023년 대비 2024년에 더 많은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외여행 수요는 새해에 접어들면서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카이스캐너의 트래블 트렌드 2024 리포트에 따르면, 한국인 여행객들이 합리적인 가격을 추구하는 동시에 다양한 문화를 탐험하고 여행 경험을 쌓기 위해 열중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특히 영화, 드라마, TV 예능 프로그램 등의 화면 속 여행지를 실제로 방문하기 위해 많은 여행객들이 ‘성지 투어’를 떠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스카이스캐너는 지난 한 해 동안 매월 전 세계 1억 명 이상의 여행객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항공권, 호텔 숙박 및 렌터카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웹사이트 및 앱 혁신·발전 과정을 통해 여행객들이 더욱 간편하게 예산에 맞는 옵션을 찾을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스카이스캐너는 올해 챗GPT ‘플러그인(plugin)’을 출시하고 여행객들이 AI를 활용해 더욱 편리하게 여행을 계획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아울러, 지난해 렌터카 검색 시 탄소 배출량 저감 차량 옵션을 도입한 후 해당 차량을 선택하는 여행객 수가 전 세계적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 6월에는 넷 제로(Net Zero) 달성을 위한 기후 행동 계획을 발표하며 탄소 중립을 위한 여정에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스카이스캐너 최고제품책임자(CPO) 피에로 시에라(Piero Sierra)는 “여행객들의 버킷 리스트를 실현하기 위해 스카이스캐너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개발 및 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K-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에서 1위를 수상한 ‘코랄로’가 본격적으로 국내 대체식품 시장에 뛰어든다. B2B2C 푸드테크 스타트업 ‘코랄로(대표 시나 알바네즈)’가 대체 수산물 라인업의 첫 신제품 ‘뉴피쉬(New F!sh) 필렛’을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코랄로가 국내 최초 개발한 ‘뉴피쉬’는 기존 시장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필렛 유형의 대체 수산물로, 생선 특유의 풍미와 부드러운 식감,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해당 제품은 코랄로가 보유한 세계 유일의 ‘미세조류 균합 발효기술’로 제조됐으며, 2년 이상 제품 테스트를 거쳐 전통 수산물과 유사한 수준의 맛과 식감을 구현해냈다. 기존 수산물 이상으로 풍부한 영양성분도 갖췄다. 오메가3, 단백질,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B2, B12 등 미세조류와 버섯 뿌리(균사체)에서 추출한 풍부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저지방, 저칼로리 제품으로 다이어트 중에도 포만감있게 섭취가 용이하다. 또. 뼈를 제거한 순살 형태로 번거로운 손질 과정 없이, 구이나 찜 등 다양한 메뉴로 조리할 수 있다. 1회분 80~100g으로 소포장 되어 있어 1,2인 가구나 가벼운 한 끼 식사를 원하는 사람들도 먹기 좋다. 신제품은 이달 말부터 서울 시내 파트너 레스토랑에서 먼저 만나볼 수 있으며, 일반 음식점 및 밀키트, 급식 유통 업체 등과 업무 협약을 맺고 공급망을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다. 코랄로는 공급 업체와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테스트 및 소비자 의견 수렴을 적극 진행하여 지속적인 품질 향상에 힘쓸 계획이다. 시나 알바네즈 코랄로 대표는 “코랄로의 ‘뉴피쉬 필렛’은 특허받은 자체 기술력을 통해 제조된 독보적인 식품으로,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대체 수산물 분야”라며, “전 세계적으로 해산물 공급량 부족 문제가 심화되는 만큼,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해나갈 뿐 아니라, 수산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기 위해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코랄로는 지난해 5월 설립된 글로벌 푸드테크 기업으로, 독일 뮌헨에 본사를 두고 있다. 최근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주관하는 해외 스타트업 유치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으며, 전북 지역 내 생산 시설을 통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방침이다.
홍대 라이즈 오토그래프 컬렉션(이하 라이즈 호텔)의 칵테일바 사이드 노트 클럽이 31일, 2023년 한 해를 마무리하는 카운트다운 파티 ‘뉴 이어 이브 사이드 노트: 클럽 에디션 (New Years Eve Side Note: CLUB Edition)’을 개최한다. 사이드 노트 클럽은 라이즈 호텔 15층에 위치한 칵테일바로, 시대와 장르를 넘나드는 1,000여 종류의 바이닐 컬렉션을 구비하고 매주 금요일, 토요일 정기 DJ 세션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이번 클럽 파티는 홍대 일대의 야경을 내려다보며 2023년의 마지막 순간을 기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 파티는 오후 6시부터 진행되며, DJ 준코코(Juncoco), DJ 예송(Yesong), DJ 반달락(Vandal Rock) 등 트렌디하고 개성 강한 사운드를 선보이는 DJ들이 무대를 꾸밀 예정이다. DJ 준코코와 DJ 반달락은 DJ 서바이벌 프로그램 ‘WET!'에서 최종 우승을 하며 이미 탁월한 디제잉 실력을 검증받았고, DJ 예송은 깔끔한 믹싱 스타일, 파워풀한 플레이와 퍼포먼스로 다수의 매니아를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DJ와이비(Whybe), DJ 포테이토(Potaito)등 다양한 장르에서 두각을 보이는 DJ들의 무대도 즐길 수 있다. 특히 사이드 노트 클럽은 파티 참여자들이 DJ 공연을 더욱 신나게 즐길 수 있도록 위해 와인은 물론 칵테일, 데킬라, 맥주 등 다양한 주류를 구비하고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한다. 라이즈 호텔 관계자는 "2023년의 마지막 순간을 라이즈 호텔에서 기념하는 잊지 못할 경험을 나누고자 이번 파티를 기획했다”라며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파티를 즐기며 한 해를 마무리하시길 바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이벤트를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파티 입장권 예약은 네이버 링크 및 호텔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호텔 공식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낭의 해안선을 따라 위치한 오션 프론트 올 빌라 리조트, 다낭 메리어트 리조트 & 스파, 논 누옥 비치 빌라(Danang Marriott Resort & Spa, Non Nuoc Beach Villas)가 스테이 롱거, 세이브 모어(Stay Longer, Save More)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최소 5박 이상 예약 시 총 숙박 요금의 최대 20% 이상을 할인하는 본 프로모션은 2024년 11월 19일까지 숙박하는 투숙객을 대상으로 한다. 모든 프로모션 고객은 호화로운 조식 뷔페는 물론 피트니스 센터, 사우나 등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베트남에서 세번째로 큰 도시인 다낭에서 메리어트 브랜드의 사려 깊은 호스피탈리티와 풍성한 경험을 선사하는 다낭 메리어트 리조트&스파, 논누옥 비치 빌라는 다낭 국제 공항에서 차로 25분 거리에 위치했다. 본 리조트에서 불과 몇걸음만 걸으면 깨끗한 해변에 다다를 수 있으며 특히 울창한 열대 정원 사이, 한적한 곳에 자리해 프라이빗하고 평화로운 휴양을 경험할 수 있다. 최소 2개에서 최대 4개 침실로 구성된 122개의 빌라가 운영되고 있으며 덕분에 가족 여행객 및 단체 여행객들이 함께 모여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이상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총 99평~128평(328~425 ㎡)에 이르는 각 빌라에는 전용 수영장과 우아한 실내 및 실외 공간 그리고 탁 트인 바다와 울창한 열대 정원의 매혹적인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창문이 마련되어 있다. 신고전주의풍 인테리어와 현대적인 디자인은 가족 여행객을 포함한 모든 투숙객에게 최고의 프라이버시와 평온함을 선사한다. 넓은 거실 공간에서 함께 휴식을 취하거나 수영장에서 물놀이를 즐기고, 전용 목재 데크의 선베드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편안한 쇼파에 누워 대형 LED TV로 영화를 감상하며 하루를 만끽 할 수 있다. 다낭 메리어트 리조트 & 스파, 논 누옥 비치 빌라 총지배인 피오트르 마데이(Piotr Madej)는 “베트남의 아름다운 해변에서 녹지로 둘러싸인 빌라 컨셉의 다낭 메리어트 리조트 & 스파, 논 누옥 비치 빌라는 전용 수영장과 햇살이 가득한 실내 및 실외 공간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여행객들은 이 곳에서 사랑하는 사람들과 유대감을 쌓는 행복한 순간을 만끽할 수 있다.”라며,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여행 또는 인센티브 단체 여행을 즐기는 모든 투숙객들에게 이 아름다운 여행지를 더욱 즐길 수 있는 보다 풍성하고 멋진 경험을 선사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한편, 다이닝 경험의 경우 다낭 메리어트 리조트 & 스파, 논 누옥 비치 빌라에서는 현지 식재료와 세계 각국의 인기 요리를 맛볼 수 있다. 리조트에 들어서는 순간, 휴식 또는 회의와 업무를 위한 공간인 그레이트 룸(Great Room)이 고객을 맞이하며 트라이탄 레스토랑(Triton restaurant)은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요리로 방문객의 미각을 즐겁게 한다. 몬순 레스토랑(Monsoon restaurant)에서는 수영장과 바다를 바라보며 즐거운 식사를 하며 풍성한 다이닝 경험을 맛볼 수 있다. 리조트의 다양한 편의시설 또한 고객의 모든 순간을 편안함과 여유로움으로 채울 수 있도록 돕는다. 고객은 인피티니 풀에서 느긋하게 휴식을 취하거나 깨끗한 해변을 따라 걸으며 멋진 바다 전망을 즐길 수 있다. 콴 스파(Quan Spa)는 8개의 트리트먼트 룸, 뷰티 살롱, 월풀, 한증막 그리고 사우나를 갖추고 있으며 완비된 피트니스 센터는 가든 뷰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리조트의 호스피탈리티 전문가들이 M 패스포트(M Passport)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들이 오래도록 추억할 수 있는 다양한 액티비티를 준비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 투숙객들은 테니스 코트, 비치 댄스 등으로 신체를 단련하고 코코넛 잎 아트, 꽃 만들기 등으로 마음을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물고기 먹이주기나 베트남 민속 놀이로 영감을 받고 끝없는 즐거움의 세계를 마주할 수 있다. 어린이 투숙객들은 각 액티비티에 참여할 때마다 스탬프를 모아 재미있는 간식을 받을 수 있다. 프라이빗하고 친밀한 분위기 속 비교 불가한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본 리조트는 열대 결혼식을 위한 완벽한 장소다. 신랑 신부는 프라이빗 빌라, 풀사이드 레스토랑과 아름다운 해변 등 멋진 장소를 선택해 성공적인 결혼식을 진행할 수 있다. 리조트를 벗어나 베트남 중부 해안에서 다양한 볼거리와 액티비티도 즐길 수 있다. 본 리조트는 다낭 중심부까지 차로 10분, 호이안 올드 타운까지 차로 20분 거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도시 명소와 지역 내 아름다운 해변에 모두 쉽게 다다를 수 있다. 리조트를 함께 찾은 가족 또는 친구들과 함께 호이안 올드 타운과 미선 유적지(My Son Sanctuary), 바 나 힐, 전설적인 마블 마운틴, 손트라 자연 보호 구역의 아름다움과 같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을 둘러볼 수 있다. 한편, 다낭 메리어트 리조트 & 스파, 논 누옥 비치 빌라는 디스커버 모어, 언 모어(Discover More, Earn More) 패키지도 진행하고 있다. 본 패키지를 통해 여행객들은 편도 공항 환승 서비스와 일일 조식, 1회 현지 여행지 체험 및 1박 당 2,000 메리어트 본보이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다낭 메리어트 리조트 & 스파, 논 누옥 비치 빌라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리어트 이그제큐티브 아파트먼트(이하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는 행운 가득한 2024년을 환영하기 위해 '로또 뉴 이어' 객실패키지를 선뵌다. 본 패키지는 누구나 승자가 되는 꽝 없는 럭키 드로우 이벤트로 다양한 상품과 함께 행운의 즐거움을 더했다. 해당 패키지는 △스위트 객실 1박 △럭키 드로우 이벤트 참여 △파크카페 조식과 디너 코스 20% 할인 쿠폰 △투숙 기간 내 입장 횟수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한 부대시설(피트니스, 실내 수영장, 사우나, 실내 골프 연습장 및 스쿼시 코트)로 구성됐다. 럭키 드로우 상품으로는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 1박 숙박권, 파크카페 식사권,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 시그니처 가방, 골프공 기프트 세트, 어린이 목욕가운, 캠핑 그리들, 아이스박스 캠핑 테이블 등 다양한 구성으로 준비됐다.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은 전 객실에 인덕션, 오븐, 식기세척기 등 주방 설비와 식기류가 완비되어 있는 것은 물론, 밀레의 세탁기와 건조기를 갖추고 있다. 또한, 모든 객실에 욕조가 있어 느긋하게 반신욕이나 거품 목욕을 즐길 수 있고 수영장에는 미온수의 어린이 전용 풀이 있어 추운 겨울에도 아이들이 안심하고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이 패키지는 2024년 2월 12일까지 이용 가능하다. 호텔 관계자는 “2023년을 마무리하고 다가오는 2024년 가족 모두가 즐겁고 기쁨 가득한 순간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라며 본 패키지의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관광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자 GKL의 출연기관으로 설립된 GKL사회공헌재단이 관광분야 청년들이 사회진출에 필요한 실무 경험 제고를 위해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번 사업은 관광업계에 종사하고자 하는 청년들에게 실무 경험과 역량강화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뒀다. 대상은 서울 거주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과 대학원생, 총 50명 규모로 지원됐으며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을 포함한 12개 호텔 및 관광기업들이 참여해 실습의 의미를 더했다. 7월부터 8월까지 두 달에 걸쳐 진행된 현장실습은 46명이 수료하고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의 경우 수료생의 취업 연계가 이뤄졌으며, 서울관광재단과 코레일관광개발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지속적인 관광기업 연계형 현장실습 활성화를 이룰 수 있게 됐다. 관광으로 이로운 사회공헌 생태계를 조성하다 GKL사회공헌재단은 2014년 관광을 중심으로 국내외 소외계층의 삶의 질 향상과 일반 사회의 공익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재단은 공기업이자 출연기관인 GKL과 함께 재단의 핵심 역량인 관광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올해 진행된 ‘대학생 관광기업 연계형 현장실습’은 코로나19 최대 피해 업종 중 하나인 관광업계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관광업계에 종사하고자 하는 청년들에게는 실무 경험과 역량강화의 기회를 제공하고 기업은 우수인력을 발굴하는 시간을 가졌다. 현장실습생은 경기대학교, 경희대학교, 세종대학교 등 유수의 관광대학교에서 총 142명이 지원해 50명이 선발됐으며, 참여 기업은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을 비롯해 롯데관광개발, 코레일관광개발, 코엑스, 서울관광재단, 여기어때,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등 12곳의 관광분야 선도 기업으로 구성됐다. 실습 분야는 사업기획, 상품개발, 마케팅 등 실무 업무에 투입할 수 있는 직무들로 이뤄졌다. 프로젝트를 담당한 GKL사회공헌재단 박상준 팀장은 “작년까지 진행했던 관광 인재 장학 사업이 마무리되면서 이들을 지속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민하던 중 현장실습의 형태로 실습생과 기업을 지원하게 됐다. 인턴십의 경우 최소 6개월에서 1년 정도 기간의 장벽이 있지만 현장실습의 형태라면 긴 기간에 대한 장벽이 없을 뿐만 아니라 기업 입장에서도 우수 인력을 발굴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고 프로그램 운영 취지를 설명하며 “첫해였으나 롯데관광개발, 여기어때, 서울관광재단, 코엑스 등 국내 관광업계를 이끌고 있는 굵직한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뤄졌다. 또한 직무 경험에 대한 목마름이 있었던 학생들의 지원도 활발해 인재 매칭의 의의를 실현시킬 수 있었다. 게다가 실제로 취업과 연계된 수료생도 있었던 만큼 인력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관광업계에 유의미한 실습이 이뤄진듯해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실습 프로그램 운영으로 관광업계의 발전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GKL사회공헌재단의 소개와 함께 그동안 재단에서 주로 진행했던 사업들에 대해 이야기 부탁드립니다. GKL사회공헌재단은 공기업인 GKL이 출연해 설립된 공익법인으로 외국인 전용 ‘세븐럭’ 카지노를 운영하고 있는 GKL의 카지노 영업 수익을 사회에 환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초창기에는 관광이나 문화예술, 체육과 관련한 지역사회 지원 사업을 주로 진행했으며 코로나19 이후에는 여러 산업 중 직접적으로 극심한 타격을 입은 관광산업의 재건을 돕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중점적으로 이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관광 취약계층에 대한 여행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관광 생태계 복원 지원을 다방면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코로나19 기간 동안 애써주신 방역 공헌자들에 대한 보답으로 글램핑 나들이를 3년간 운영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 ‘대학생 관광기업 연계형 현장 실습’ 프로그램 기획은 어떻게 이뤄졌는지, 프로그램 설계 과정에서 주안점을 둔 부분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현장 실습은 인턴십과 다르게 교육에 목적이 있다 보니 학습의 범주에서 벗어난 과도한 업무 분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실습생과 실습 기업들의 사전 교육에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올해에는 사전 교육을 2일간 집합교육의 형태로 실시했었는데 차년에는 전체 참여 기업과 참가 학생들이 한 자리에 모일 수 있도록 토크 콘서트도 구상 중이며 보다 상호간의 스킨십이 두터워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해보고자 합니다. 특히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기업의 직무 이해도가 깊지 않은 만큼 실습을 통해 막연했던 직무를 직접 탐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실제 실습은 어떻게 이뤄졌는지 궁금합니다. 기업과 실습생들의 반응은 어떠했나요? 올해가 첫해였음에도 불구하고 다행히 굴지의 관광기업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여행업부터 관광숙박업, 공공기관 및 협회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실습을 희망했고, 이에 따라 실습생들은 본인이 관심을 두고 있는 기업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매칭이 이뤄졌죠. 내년에는 보다 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더욱 많은 기업들의 참여를 독려하고자 합니다. 한편 참여 기업들의 후기를 들어보면 코로나19로 감축된 인원으로 업무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2달가량의 실습생 지원을 통해 조금이라도 숨통을 트일 수 있게 됐다는 이야기들이 많았습니다. 이에 적극적인 홍보만 이뤄진다면 기업체들의 참여를 더욱 다방면으로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올해의 성과를 바탕으로 현장실습 운영은 어떻게 전개해 나갈 계획이신지 궁금합니다. 현장실습이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가시적인 성과가 동반돼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취업 연계가 늘어날 수 있도록 비단 인재 매칭뿐만 아니라 기업의 실습 활용도를 제고하는 방법도 제시할 계획이며, 보다 취업 취약 계층들을 대상으로 실습 지원의 범위를 확대해 실질적으로 실습이 필요한 이들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서류 심사부터 기업의 담당자들도 함께 참여시켜 직접 지원자들과 대면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면서 기업은 인재를 확충하고 실습생들은 구직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시간들을 만들어 보고자 합니다.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GKL사회공헌재단의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 이야기 해주신다면? GKL사회공헌재단은 재단의 핵심 역량인 관광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공모사업도 진행 중이며 관광벤처나 관광 사회적 기업, 스타트업들과 함께 지역으로 봉사활동을 가거나 인구소멸 위기에 놓인 지역의 관광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도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현장실습의 경우 사업 초기 실습생의 70% 수료를 목표로 했으나 50명 중 취업 등의 이유로 중도 포기가 4명에 불과했을 정도로 실습 반응이 좋았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현장실습도 GKL사회공헌재단을 대표하는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며 실습으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취업지원과 인재발굴의 활동들 또한 적극 전개해나갈 것입니다. GKL사회공헌재단 바로가기
식품 종합 포장재 회사 두일(대표이사 강문규)이 주관한 식물성 대체육 브랜드 퀀(Quorn)의 런칭 기념 팝업 행사가 성황리에 마쳤다. 지난 12월 12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 인근 '디알씨(DRC) 홍대'에서 열린 퀀 제품 런칭 기념 팝업 행사에는 외식업계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행사 시작 전부터 다채로운 주류 시음과 대체육 핑거푸드로 분위기를 웜업한 이날 행사는 두일 그룹 강문규 대표이사의 축사로 시작됐다. 퀀의 한국 사업을 총괄하는 'SY 인더스트리얼'의 박일경 회장은 제품 런칭까지의 여정을 풀어내며 소회를 전했으며, 브랜드 프레젠테이션이 10여 분 간 진행됐다. 본격적으로 진행된 시식 행사에서는 ▲스웨덴 스타일 미트볼, ▲너겟, ▲비건 핫앤스파이시 패티, ▲ 소시지 김밥 등, 30여 가지의 대체육 메뉴가 차례로 선보여졌다. 특히 깻잎으로 감싼 대체육 피쉬핑거는 겉바속촉의 식감을 가진 피쉬핑거에 깻잎 향이 어우러져 많은 인기를 끌었다. 특히 행사장에서는 젊은 층의 참가객들이 높은 관심을 보여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MZ세대의 대체육에 대한 관심을 실제로 확인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이날 행사로 대체육을 처음 접한 또다른 참가객은 "생각보다 맛있어서 놀랐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또 다른 참가객은 "대체육이라는 느낌보다는 하나의 새로운 음식 종류를 맛본 것 같아 신선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두일 관계자는 "조리 시설이 마련돼 있는 공간의 특징을 십분 활용해 따뜻하고 신선한 대체육 메뉴를 선보임으로써 참가객들에게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팝업 행사에 함께 참가한 ▲위스키파크, ▲(주)그레이프 코리아, ▲투플러스와인 3개 업체는 위스키와 와인 외에도 최근 유행하는 하이볼을 제공해 행사의 열기를 더욱 무르익게 했다. 지난 6월, 팬데믹의 영향으로 무려 4년 만에 식약처의 정식 허가를 받은 영국의 대체육 브랜드 퀀은 내년 국내에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이슬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가 배포한 ‘2020 무슬림 관광객 유치 안내서’에 따르면 2020년 무슬림 인구는 19억 명으로 세계 인구 중 24.6%를 차지하며 2060년에는 31.1%인 30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무슬림의 전체 소비 규모는 2.02조 달러로, 글로벌 전체 관광시장에서는 12%를 차지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무슬림의 주된 소비 품목인 할랄에 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할랄은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법에 따라 허용된 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는 돼지고기나 개고기, 뱀, 알코올 등을 포함하지 않는 식품류에 적용됐지만 최근에는 식품뿐 아니라 패션, 화장품, 의약품, 관광 및 물류 산업까지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코란에 따라 의식주를 제한적으로 소비하던 무슬림이 점점 세계의 트렌드에 맞춰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엔데믹의 선언과 함께 인바운드 시장이 강한 회복세를 보이며 우리나라를 찾는 무슬림 관광객 또한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호스피탈리티업계 또한 무슬림 친화적 인프라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이슬람은 610년 무함마드가 창시한 종교로, 이슬람 교리를 따르는 신도를 무슬림이라 칭한다. 그리고 무슬림의 일상생활에 적용되는 삶의 기준을 할랄이라고 한다. 이슬람과 무슬림, 할랄이 구분 없이 혼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본지에서는 지역적 맥락에서의 ‘이슬람 시장’과 문화적 맥락에서의 ‘할랄 시장’을 구분해 표기하고, 이슬람 교리를 따르는 관광객이나 소비자를 칭하는 의미로 ‘무슬림’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 함께 보면 좋을 기사 [2016년 6월호 Dining Focus] 17억 무슬림 관광시장 유치를 위해 무슬림들이 편하게 식사할 수 있는 레스토랑 확보가 필수 [2020년 12월호 Post Corona] 젊고 거대한 시장, 무슬림 관광객에 주목하라 [2022년 9월 Inbound Strategy] 관광 시장 다변화의 핵심, 중동의 중심 아랍에미리트 - 고부가가치 창출하는 의료·웰니스 관광의 주역으로 주목받다 [2022년 10월호 Inbound Strategy] 확장될 수밖에 없는 인바운드 시장, 사우디아라비아 - 결속력과 의리로 다져진 ‘와스따’의 전략 모색해야 할 때 [2023년 7월호 Global Hospitality] 우주까지 뻗어간 할랄식품, UAE 할랄시장 기회는? 할랄 시장 진출, 정부가 밀어준다 지난 9월, 말레이시아 정부는 글로벌 할랄 시장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할랄산업 마스터플랜 2030(HALAL INDUSTRY MASTER PLAN 2030)’ 정책을 발표했다. 글로벌 할랄 시장의 중심축인 말레이시아는 할랄 산업 규모를 오는 2025년까지 말레이시아 GDP의 8.1% 수준으로, 2030년까지는 1132억 달러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에 말레이시아 부총리 아마드 자히드(Ahmad Zahid)는 9월 9일부터 12일까지 MITEC에서 진행한 글로벌 할랄 정상회담(GHaS)의 할랄 부문 포럼에서 이슬람개발부(JAKIM)에 할랄 인증서 발급 절차 간소화 및 승인 기간 단축을 지시했다. 현지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할랄 상품 수출액을 631억 링깃(약 134억 달러)까지 확대해 글로벌 할랄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5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중동 4개국 방문을 기점으로 할랄 시장에 처음 발을 들였다. 이후 팬데믹으로 교류 협력 추진이 다소 경직되나 싶다가, 최근에서야 다시금 활기를 되찾았다. 지난 3월 강원도 홍천에는 할랄 인증 도축장이 최초로 건립됐으며, 농림축산식품부는 말레이시아 정부 공인 할랄 인증인 JAKIM과 5년간의 긴 협상 끝에 할랄 인증 한우의 말레이시아 수출 판로를 개척했다. JAKIM은 세계 3대 할랄 인증 기관 중 하나다. 이로써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할랄 인증이 필요한 국가로 한우 수출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농림축산식품부는 인도네시아, UAE와도 한우 수출 검사 협상을 마친 상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9월 할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협의체 구축 및 운영 계획을 발표했다. 식품· 화장품·의약품 등 할랄 관련 주요 상품을 발굴·육성하는 동시에, 할랄 수출기업의 애로도 적극적으로 해소해 나가는 등 수출 플러스 회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1월 1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인도네시아 할랄인증청(BPJPH)과 국내 민간 할랄 인증기관인 (재)한국이슬람교(KMF), 한국할랄인증원(KHA) 간 할랄 인증에 관한 상호인정협약(MRA)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인도네시아로 수출하는 농식품 기업은 인도네시아 할랄인증청의 인증을 받지 않고, 우리나라 민간 할랄 인증기관의 할랄 인증을 받아 인도네시아로 수출할 수 있게 됐다. 할랄 인증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인증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할랄 인증’으로 글로벌 무슬림 시장에 뛰어드는 국내 기업들 2018년 중소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이슬람(할랄) 시장 현황 및 진출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할랄 시장이 주목받게 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전 세계적으로는 웰빙 트렌드에 의한 것으로, 무슬림의 소득수준 향상과 건강·식품위생에 대한 관심도 등의 영향으로 종교와 상관없이 할랄 인증 제품이 프리미엄 제품이라는 인식으로 선호도가 높아진 까닭이다. 아울러 한류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 대한 선호도 및 제품 구매력이 높아 화장품, 의약품, 패션, 관광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할랄 인증을 받은 기업은 어디일까? ㈜농심은 2009년 국내 무슬림과 불교 신자를 위한 ‘채식주의 순’라면을 출시했다. 이슬람 및 불교권 국가 진출을 검토하며 국내 할랄 인증 기관 ‘KMF’로부터 할랄 인증을 취득했다. 한편 ‘대상㈜’는 2011년 국내 식품공장 최초로 2011년 할랄 인증을 받고 할랄 인증 제품 수출에 나섰다. 이를 기점으로 대상㈜의 마요네즈, 롯데제과와 오리온의 과자류, 남양유업의 우유, CJ제일제당 등이 할랄 인증을 취득해 이슬람 국가에 수출을 시작했다. 할랄의 범위가 식품을 넘어 화장품, 의약품, 정수기 등 다양한 제품 분야로 확대되며 국내의 기업도 할랄 인증을 결합한 글로벌 이슬람 시장 진출 프로젝트를 가속화했다. 코웨이는 2010년 정수기 업계 최초로 JAKIM을 취득했고, 2018년에는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SK매직이 할랄 인증을 받기 시작해 정수기와 필터를 대상으로 JAKIM 인증을 받고 있다. 일동제약그룹의 건강기능식품 사업 계열사인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22년 11월 자사 프로바이오틱스 원료에 대해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을 취득했다. 일동바이오사이언스가 취득한 할랄 인증은 인도네시아 식품·의약품·화장품 평가기관인 ‘무이 할랄 심사원(LPPOM MUI)’ 주관이다. LPPOM MUI는 말레이시아의 JAKIM, 싱가포르의 MUIS와 더불어 세계 3대 할랄 인증 기관 중 한 곳이다.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락토바실러스 균속, 비피두스 균속 등 자사가 생산하는 유익균 및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총 22종에 대한 할랄 인증을 취득했다. 각 원료의 성분 및 소재는 물론, 제조 시설과 공정에 이르기까지 까다로운 평가 절차와 현장 실사 등을 거쳤다. 화장품 제조자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는 지난 9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할랄 어워드 2023’에서 ‘할랄 시스템 시행 우수 기업’ 화장품 부문 최우수상을 받았다. 코스맥스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계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할랄 어워드에서 상을 받았다. 할랄 인증은 해외시장 진출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할랄 인증을 비롯한 무슬림 친화 인프라의 구축은 국내 거주 무슬림과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무슬림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코로나 이후 우리나라의 의료 서비스를 찾는 고소득층의 무슬림 방문객 또한 다시 늘어나며 병원이나 호텔, 여행사 등의 호스피탈리티업계에서도 이에 대한 대응을 마련하고 있다. 2018년에는 FIT전문 여행사 원월드투어는 세계 최초로 이슬람월드(DMDI)로부터 할랄 인증을 받았다. ㈜대형홀딩스와 ㈜포시즌관광은 지난 11월 14일 인도네시아 할랄 여행 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포괄적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 협약은 한류 열풍에 힘입어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급증하는 시기에 할랄 여행 상품 개발과 편의 제고가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함께 하고, 할랄 여행 및 쇼핑 등 부가 사업의 공동추진을 위함이다. 리무진 제조업체 케이씨모터스는 2020년 현대차 쏠라티를 기반으로 무슬림을 위한 차량을 제작했다. 한국할랄인증원(KHA)으로부터 리무진 차량으로는 최초로 할랄 인증을 받은 ‘노블클라쎄’는 6000만 원대 차량을 무슬림 관광객의 눈높이에 맞춰 개조했다. 지난 7월 보도된 기사에 따르면 케이씨모터스 관계자는 “이슬람 문화권과 교류가 늘어나면서 올해 초부터 고위 공직자나 상대국 기업 임원의 한국 방문을 위해 차량을 쓸 수 있는지 문의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쉽지만은 않은 할랄 인증 취득 수익과 경제적 여력 토대로 신중한 고려 필요해 할랄에 대한 기준은 이슬람 법학파 및 지역 관습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국가나 지역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이며, 과거에는 스스로 할랄임을 선언하는 것도 인정됐다. 그러나 비이슬람 문화권 국가와의 무역이 확대되고 할랄에 대한 신뢰성이 요구됨에 따라 최근에는 공신력 있는 인증기관을 통한 할랄 인증을 요구하는 추세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300개가 넘는 할랄 인증 기구가 있지만 아직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할랄 인증 기준안은 마련돼 있지 않다. 수많은 할랄 인증 중에 공신력 있는 인증 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는 곳은 말레이시아 JAKIM(Jabatan Kemajun Islam Malaysia), 인도네시아 MUI(Majelis UlamaIndonesia), 싱가포르 MUIS(Majelis Ulama Islam Singapura), 미국의 IFANCA( Islamic Feed andNutrition Council of America) 등이며, 국내 기업은 UAE,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수출 해당 국가의 할랄 인증을 직접 받거나 국내 할랄 인증과 교차 인정되는 경우 국내 인증을 받아 활용하기도 한다. 2020년 한국식품연구원에서 제공한 자료에 의하면 국내 할랄 인증·보증 기관은 총 5곳이었지만 2023년 현재 확인되는 곳은 총 4곳이며, 상호 인정 해외 인증 기관은 각 인증 기관마다 상이하다. 인증 절차 및 제도 역시 각 인증 기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국내 4개의 인증 기관을 비교해 본 결과 통상적 할랄 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할랄 인증 기관의 웹사이트를 방문해 인증을 신청하고 필요한 문서를 제출한다. 신청서 양식은 각 기관에 따라 상이하다. 신청서에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상세한 정보, 원료에 대한 설명, 제조 과정, 생산 시설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신청 및 서류 제출이 완료되면 인증 기관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직접 현장을 방문해 심사한다. 심사는 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인 서류심사에서는 할랄 제품 목록을 식별하고 제조 시설, 생산과정, 사용되는 원료 등의 할랄 여부를 판단하며, 2단계인 생산 현장 평가에서는 제조·저장·위탁 제조 시설 등 인증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시설에서 심사를 실시한다. 서류심사 결과에 따라 생산 현장 평가가 지연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결과 부적합 요소가 검출될 경우 시정 조치를 진행하며, 인증 기관은 최종 심사 보고서를 샤리아위원회에 제출한다. 샤리아위원회는 이슬람 금융 전반을 규제하고 감독하는 기관이다. 샤리아위원회의 적합 판정을 받아야만 인증서가 발행된다. 발행된 인증서는 각 인증 기관마다 정해진 유효 기간에 따라 갱신해야 하며, 인증 기관은 할랄 인증 조건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12개월 주기로 사후관리 심사를 실시한다. KMF의 경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인증 정보를 안전하고 투명하게 관리하고, 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업체에서 할랄 인증을 신청해 KMF가 검토 및 인증서를 발급하고 나면 블록체인에 업체의 정보가 기록된다. 제품 및 서비스 고유의 QR 코드가 생성돼, 업체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제품 및 서비스의 할랄 인증 정보 및 제품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매 단계에서 엄격한 기준과 절차를 거쳐야 하고 많은 조건을 충족해야 하므로 할랄 인증을 취득하기는 쉽지 않다.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부담이 크다. 각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많은 제품이나 메뉴를 보유한 음식점에서는 그만큼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음식뿐 아니라 업장에서 사용하는 세제 등 제품의 세부 사항까지 정확하게 표시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노력과 비용이 많이 필요하고, 이는 작은 가게나 개인 사업자에게는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할랄 인증을 고려하는 기업은 비용 측면과 아울러 시장 수요와 사업체의 경제적 여력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존중과 환대로 무슬림 맞이하는 국내 호텔들 ‘할랄 인증’ 얼마나 받았나? 무슬림 관광객을 일선에서 맞이하는 호텔업계 상황은 어떤지 서울 소재 무슬림 친화 호텔을 바탕으로 현황을 들여다봤다. 현재 무슬림 친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울 시내 호텔은 총 13곳이다. 서울특별시관광협회가 서울시와 공동으로 진행 중인 '서울관광시장 다변화 사업' 담당자 박종선 사원은 “발굴 당시에는 좀 더 많았으나, 코로나 기간 문을 닫은 곳과 관광객 감소로 운영하지 않는 곳이 많이 생겼다.”고 전하며 “무슬림 친화 호텔로 정하는 기준으로는 기도실 혹은 기도 용품을 제공하거나 할랄 음식을 서비스하는 곳, 둘 중 하나라도 제공이 가능한 곳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기도실이 설치돼 있다면 가장 좋지만, 무슬림 관광객도 외국 호텔에 기도실이 흔히 마련돼 있지 않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도 용품만 제공돼도 무슬림 친화 호텔로 분류하고 있다. 비슷하게 호텔 레스토랑에 할랄 메뉴가 준비돼 있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미리 요청하면 할랄 음식을 제공할 수 있는 곳도 무슬림 친화 호텔로 분류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할랄 인증과 관련해서는 “할랄을 지키는 선은 제각각 다를지라도 할랄 인증이 있다면 걱정 없이 먹을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할랄을 허위로 표기하는 것”임을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실례로 한 말레이시아인이 노점상에 직접 할랄 여부를 묻고, 인증서를 요구하는 영상이 틱톡 플랫폼을 통해 확산해(23.01.26 기준 42만 뷰) 무인증 할랄 표기를 하지 말 것을 선조치한 적이 있으며, 그 후속 조치로 협회에서는 거리 가게 할랄 표기에 대한 매뉴얼 및 교육 또한 준비 중이라고. 끝으로 그는 “무슬림 관광객들은 무슬림 관광객끼리의 커뮤니티 및 신뢰를 중요시해, 입소문이 가장 큰 요소”라며 “기도실과 할랄 음식 등이 갖춰진다면, 무슬림 관광객 사이에서 들르거나 주지해야 할 장소가 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와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는 모든 식음 업장에서 비건 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음식 주문 시 별도로 요청할 경우 개인 상황에 맞춰 요리를 준비한다. 아랍식을 포함한 5개국 아시안 퀴진을 제공하는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의 ‘아시안 라이브’에서는 할랄 음식 전문 셰프가 직접 현지식 정통 중동 음식을 제공한다. 파르나스호텔의 이신영 매니저는 “종교 및 알레르기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이유로 음식에 대한 문의, 요청이 많다.”며, 워낙 다양한 문화권의 고객이 호텔을 방문하기 때문에 그에게 맞는 요구 사항을 유연하게 맞추는 편이라 덧붙였다. 그는 “개인적 사정으로 여행에 제약이 많은 고객들에게는 사전에 요청 사항을 공유해 줄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며 고객 개인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이필드호텔 서울에서 운영하는 한식당 ‘낙원’은 2018년 할랄 인증을 받은 매장이다. 할랄 메뉴를 미리 요청하는 고객에게 할랄 음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할랄 메뉴판을 별도로 제작, 소불고기, 전복 비빔밥, 해물된장찌개, 해물파전 총 4종을 준비했다. 메이필드호텔 서울 박형진 홍보 담당자는 “K-Pop, K-드라마 등 K-콘텐츠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세계적으로 한국을 찾는 이들이 증가하는 추세며, 그 속에 무슬림 여행객들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미디어로만 접했던 한국 문화와 생활을 직접 보고 듣고 느끼고 싶어 하는 열망이 강하다. 특히 먹거리의 경우 그 열망이 더욱 도드라지며 불고기, 비빔밥, 된장찌개 등 현지의 맛을 경험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어디를 여행하든 편안한 쉼을 제공하는 숙소는 여행 중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기는 요소”라며, “작은 배려와 서비스로 그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 나아가 한국에 대한 좋은 인식으로 번질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손님을 맞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크 하얏트 서울은 할랄 인증 받은 재료를 사용한 요리를 호텔 메인 레스토랑인 코너스톤과 룸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고객의 요청에 따라 할랄 가능한 메뉴도 제공된다. 룸서비스 메뉴판은 할랄 메뉴 표기가 돼 있으며, 조식 세트, 조식 단품, 베이커리, 어린이 메뉴, 건강 주스, 한식 메뉴, 양식 메뉴, 샌드위치와 버거 스낵 등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메뉴로는 뉴질랜드산 어린 양갈비구이와 생선 등이 준비돼 있다. 파크 하얏트 서울의 문일 세일즈 & 마케팅 상무는 “전체 투숙객 중 무슬림 고객 비율은 평균 2~3% 정도로 코로나 이후 시장이 회복되면서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5~8월 시즌에 투숙률이 가장 높았다.”며, “파크 하얏트 브랜드 특성상 개별 고객의 니즈에 따라 제공할 서비스를 사전에 꼼꼼하게 확인하고, 별도로 준비를 해드리고 있어 무슬림 고객님들이 불편함 없이 미식과 여행을 즐기실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렇듯 호텔업계에서는 현재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별도로 제공하는 경우가 기도 용품과 음식으로 제한돼 있다. 이에 대한 이유는 여러 가지로 분석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할랄 인증을 받는 것은 간단한 절차가 아니며 비용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아직은 무슬림이 전체 투숙객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지 않는 상황과, 절차와 비용에 대한 부담을 고려했을 때 호텔업계는 할랄 인증을 많은 부분에 도입하기 어렵다. 본 취재에서는 서울에 국한해 조사를 진행했으나, 호텔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무슬림 관광객의 수요와 관심도는 지역에 따라 상이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무슬림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그 수요가 제한적일 수 있다. 상당수가 체인으로 운영되는 호텔업계에서 할랄과 같은 특정 서비스를 모든 지점에서 제공하는 것도 사실상 어려운 일이다. 음식의 규범을 넘어 문화적으로 열린 시각과 진정한 교류의 기회 제공하는 ‘할랄’ 서울관광재단에 따르면, 한국을 방문한 무슬림 관광객은 올해 상반기에만 32만 7945명으로, 지난 한 해 방문한 32만 5544명을 뛰어넘는다. 한편 싱가포르의 무슬림 여행 컨설팅 기업인 크레센트레이팅(Crescentrating)이 선정한 무슬림 친화 국가 순위에서 한국은 비이슬람협력기구국가(OIC) 중 47위로 높은 편에 속하며, 무슬림 여성들이 여행하기 좋은 OIC 국가로는 4위에 선정됐다. 지난 8월 열린 ‘2023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회에서는 태풍으로 새만금 야영지를 철수한 이집트 대원 120명을 맞이하고자 진안군에서 급히 할랄 음식을 마련했으나, 조직위 실수로 이집트 대원들이 군산에 이송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환대는 이슬람 문화에서 중요한 가치 중 하나로 여겨진다. 무슬림의 환대는 손님을 따뜻하게 받아들이고 존중하는 것뿐만 아니라, 손님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배려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융화, 상호 존중, 소통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우리가 잘 아는 명심보감의 성심편(省心篇)에도 환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목이 있다. “在家不會邀賓客 出外方知少主人(재가불회요빈객 출외방지소주인)” 집에 있을 때 손님을 잘 대접할 줄 모르면 집 밖에 나갔을 때 비로소 나를 손님으로 대접해 주는 주인이 적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손님을 접대하는 것은 사람이면 당연히 갖추어야 할 ‘예(禮)’에 해당하고, 이는 다른 사람에게 공손하고, 다른 사람을 존중하며, 다른 사람에게 겸손하며, 다른 사람을 성실하게 대하는 마음을 뜻한다. 우리는 우리를 찾아온 손님을 얼마나 잘 대접하고 있을까? 여우와 두루미의 이야기가 상징하는 바를 기반으로 진정한 환대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성찰해 봐야겠다. 단순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상호 간의 교류와 소통을 중시하는 환대 문화를 정립하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2016년 웹진 문화관광에 <한국과 중동의 관광교류 의의>를 주제로 글을 기고한 적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기고의 배경은 무엇인가?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이란 순방이 있었다. 이란 지역이 단순히 수익을 얻고자 하는 무역국에서 좀 더 긴 호흡으로 그들과 교류의 중요성이 제기되는 시점이었다. 한국과 중동 간 관광교류에 있어 해결해야 하는 과제는 크게 두 가지였다. 첫 번째는 의료 관광 증대에 앞서 문화적 서비스 의전 분야에서의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점이었다. 환자들에게 맞는 음식이나 종교적인 케어를 위한 ‘무슬림 친화 호텔(Muslim Welcome Hotel)’이나 ‘무슬림 친화 식당(Muslim Welcome Restaurant)’의 지원 및 선정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한류 인기에만 기대 중동 시장 공략을 위한 구체적인 관광 인프라의 구축 계획이 없는 당시 상황 또한 우려 지점이었다. 심도 있는 마케팅 전략과 관광객 유치에 대한 현실적 대안을 파악하고 중동인들에게 인기 있는 동남아 국가들과 비교해 차별적인 관광 유치 전략 수립을 하려는 노력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강조한 글이었다. 현재 한국의 무슬림 관광객 수용 태도는 얼마나 변화했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다. 그래도 예전과는 달라졌다고 생각한다. 한국 사회에 무슬림들은 관광객으로 낯선 존재였다. 아직 나와 ‘같이 사는 사람’이라는 인식으로까지는 가지 못한 것 같지만, 우리나라로 여행을 오는 ‘외국 사람’이라는 인지가 어느 정도 사회 전반에 자리잡았고, 그에 대한 거부감은 줄어들지 않았을까 싶다. 7년 사이 한국 사회가 ‘할랄’이라는 단어를 알게 된 것만으로도 의미 있다고 본다. 개념에 대한 인식이 생겼으니, 앞으로는 대책을 잘 세워야겠다. 그런 점에서 긍정적으로 태도가 변화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일각에서는 무슬림 관광객의 유입을 위해서는 다방면으로의 할랄 적용이 확대돼야 한다고 말한다. 국내 호텔에서 할랄 인증은 무슬림 친화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있어 어느 정도의 필요성을 지닐까? 할랄 인증이 언제 왜 생겨났는지부터 들여다봐야 한다. 할랄 인증은 말레이시아에서 제일 먼저 시작됐다. 그리고 말레이시아에서 할랄 인증이 먼저 시작된 이유 중 하나는 화교계가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교계는 돼지고기를 섭취하지만, 무슬림은 돼지고기를 섭취하지 않는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이러한 종교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할랄 인증이 중요하게 강조된 것이다. 무슬림 소비자들을 위해 할랄 제품을 식별하는 것이 할랄 인증의 시초다. 무슬림이 인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중동 같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할랄 인증 제도가 필요 없었다. 반면 한국은 다문화 포용의 목적보다는 정부의 수출입 다변화 정책의 일환으로 할랄산업이 육성됐다.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할랄 인증의 중요성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내수 차원의 할랄 적용 확대는 신중히 고려돼야 하는 부분이라고 본다. 인증 마크나 증서보다는 진심이 중요하다. 진정으로 나를 따뜻하게 대접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대하는 것, 손님으로서 환영받는 기분이 들면 되는 것이다. 인증에 너무 매몰되지는 않았으면 한다. 무슬림은 국적이 아니기 때문에 호텔 입장에서는 통계를 내기도 어렵고, 때문에 할랄 제품 및 서비스를 확장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보였다. 무슬림을 하나의 집단으로 바라보는 것은 현재 우리 사회가 지닌 문제 중 하나다. 한국에 관광 목적으로 많이 오는 쪽은 주로 동남아 국가의 무슬림, 게다가 젊은 여성들이다. 반면 중동 국가의 무슬림은 의료 관광을 목적으로 한국에 방문한다. 동남아 무슬림과 중동 무슬림은 엄연히 다르기 때문에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두 시설을 따로 갖출 필요는 없어 보인다. 화장실에 비데 시설이 갖춰져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기도 역시 객실에서 할 수 있는 행위다. 그보다는 메뉴를 다각화해 선택의 폭을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한국은 채식주의자를 위한 옵션이 극히 적은 사회다. 할랄에 맞추기보다는 비건에 초점을 두고, 반드시 무슬림뿐 아니라 다양한 개인을 포용하는 서비스와 인프라를 마련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해외 관광객을 맞이하는 한국의 호스피탈리티업계에 제언한다면? 팔기 위한 대상이 아닌 품에 안는 대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우리 사회가 할랄 친화, 무슬림 친화 서비스의 제공 방식 등, 해외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시도는 다방면으로 하고 있으나 아직도 다양성에 대한 포용력은 적다. 최근까지만 해도 모스크 건축 반대로 갈등이 있었지 않나. 타문화에 대한 몰이해로 벌어지는 다양한 문제는 한국의 관광 산업에 굉장히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무슬림뿐 아니라 다른 문화권의 어떤 손님이든 다양성의 존중을 바탕으로 진심 어린 환대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엔터테인먼트 리조트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모히건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대표 첸 시, 이하 ‘모히건 인스파이어’ 또는 ‘인스파이어’)가 소프트 오프닝 후 첫 브랜드 광고 캠페인을 18일 공개한다. 이번 캠페인은 ‘낯선 영감으로의 초대’ (Invitation to INSPIRE)라는 테마로 인스파이어의 다채로운 공간에서 일상을 벗어난 새로운 자극과 영감을 발견하는 페르소나를 표현하기 위해 K-팝의 아이콘 ‘태양’과 손잡아 한층 눈길을 끈다. 모히건 인스파이어는 축구장 64개를 합친 드넓은 대지 위에 3개 타워로 이루어진 특급 호텔, 15,000석 규모의 국내 최초 공연 전문 아레나, 사계절 이용 가능한 실내 워터파크 ‘스플래시 베이,’ 천장과 벽을 뒤덮은 150m 길이의 거대한 LED 위로 초현실적인 미디어 아트를 보여주는 ‘오로라,’ 쇼핑·다이닝·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복합문화공간 ‘인스파이어몰,’ 외국인 전용 카지노, 국내 최대 규모의 호텔 볼룸을 갖춘 연회시설, 휴양과 체험을 즐길 수 있는 야외 공원 등 매력적인 공간과 콘텐츠가 가득한 진정한 ‘엔터테인먼트 리조트’다. 공연 관람, 가족 여행, 친구들과의 호캉스, 워터파크, 비즈니스 미팅 후 휴식 등 방문객의 취향과 구성원에 따라 원하는 대로 여행을 디자인하고 즐길 거리를 선택할 수 있다. 캠페인 광고에는 서로 다른 니즈를 가진 페르소나들이 등장해 인스파이어에서 각자가 좋아하는 공간과 콘텐츠를 발견하고 즐긴 후 다시 일상을 살아가는 활력과 영감을 얻는다는 스토리가 담겨 있다. 오랜만에 함께 휴가를 떠나 자연을 닮은 호텔 룸에서 휴식을 취하는 가족, 한겨울에도 유리돔 위 파란 하늘을 보며 여유롭게 물놀이를 즐기는 친구들, ‘오로라’에서 환상적인 디지털 쇼를 즐기는 사람들, 그리고 인스파이어 아레나를 찾은 K-팝 아티스트 ‘태양’의 모습이 등장한다. 인스파이어는 최고의 공연장인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느낄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감동을 전달하기 위해 국내외 수많은 음악 팬들에게 영감을 선사하는 상징적인 아티스트로 가수 ‘태양’을 선정했다. 최근 왕성한 솔로 활동을 하고 있는 태양은 본 캠페인 영상의 하이라이트인 인스파이어 아레나 장면에 등장해 자신의 ‘Down to Earth’ 앨범의 수록곡 ‘인스퍼레이션’ (Inspiration)을 공연하는 모습을 연출, 독보적인 퍼포먼스가 선사하는 전율과 영감을 표현했다. 인스파이어는 광고 모델을 지나치게 부각하거나 시설 소개 위주의 전형적인 리조트 광고 방식에서 벗어나 개성있고 영감을 줄 수 있는 장면 연출과 영상 기법을 활용하고자 노력했다. 각 리조트 장면 전환 시 변조를 두어 다이내믹하고 볼드한 인스파이어 고유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한편, 리조트의 여러 장소를 조명하는 영상의 흐름이 유려하게 이어져 보는 이들이 마치 직접 리조트를 투어하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한다. 인스파이어의 첫 번째 광고 캠페인은 12월 18일부터 공중파와 케이블TV, 각종 디지털 채널 및 강남역, 홍대 등 주요 거점 지역의 대형 옥외광고매체를 통해 소비자들을 만날 예정이다. 또한 인스파이어 코리아(INSPIRE KOREA)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공개된다. 한편, 인스파이어는 지난 11월 30일 소프트 오프닝을 통해 호텔 타워 3개 동, 아레나, MICE, 오로라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거리), 스플래시 베이 (호텔 투숙객 대상 스위밍풀 한정), 직영 레스토랑 등을 오픈했다.
글로벌 여행 및 레저 이커머스 플랫폼 클룩(Klook)이 지속가능한 여행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건강한 여행 문화를 만들기 위해 ‘착한여행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착한여행은 여행객들이 여행지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며 책임감 있게 소비하고, 여행객과 현지인이 대등한 관계를 맺고 상생하는 여행을 뜻하며 ‘공정여행’이라고도 한다. 여행 시 현지 문화를 존중하고 지역 경제에 도움을 주면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클룩은 글로벌 OTA(온라인 여행 플랫폼)로서 전 세계 2,300여 개 여행지에서 액티비티 53만여 개 이상을 제공하고 있는 만큼 지속가능한 여행 생태계 확장을 위해 파트너사들과 함께 관련 여행 상품 개발 및 소개에 힘쓰고 있다. 이번 기획전을 통해 클룩이 소개하는 착한여행은 △베트남 하노이·하롱베이·닌빈 4박 5일 투어 △체코 소도시 5박 7일 소그룹 투어 △일본 홋카이도 시레도코 유빙 투어 세 가지다. 베트남 투어는 일정 중 공정여행 기반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동남아 여행 필수 코스인 마사지는 시각장애인에게 직업 훈련과 고용 기회를 제공하는 ‘오마모리 스파’에서 진행된다. 소외된 청소년에게 무료 요리 교육과 취업을 지원하는 유명 식당 ‘코토 레스토랑’에서의 식사도 있다. 하롱베이에서는 환경보호와 지역사회를 돕기 위해 바다쓰레기 수거 등 다양한 책임여행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는 ‘드래곤 레전드 크루즈'를 타고 선상 여행을 즐길 수 있다. 체코의 착한여행 상품은 체코 공인 가이드와 함께 프라하, 카를로비 바리, 체스키 크룸로프 3개 도시를 여유롭게 둘러본다. 지속가능한 여행을 위해 도시 내 이동시에는 대중교통과 도보만을 이용한다. 숙박은 지역주민이 운영하는 탄소중립호텔 ‘할루파’에서 이뤄지며, 유기농 식자재를 사용하고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를 실천하는 친환경 레스토랑에서 식사하는 시간도 있다. 일본 홋카이도 시레도코 유빙 투어에서는 기후변화로 사라질지도 모르는 ‘유빙’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홋카이도 동쪽의 ‘오호츠크해’에는 겨울이 되면 러시아 아무르강에서부터 물에 떠 있는 얼음조각 ‘유빙’이 떠내려온다.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자연현상이자 지구온난화로 사라질 위기에 있는 유빙을 도보, 쇄빙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체험하고 인근 주민들과 직접 만나보며 자연 보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착한 여행이다. 이준호 클룩 한국 지사장은 "클룩은 여행객들에게는 현지 문화와 환경을 존중하면서 여행하는 기쁨을, 여행지에는 관광객을 통해서 지역경제가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지속가능한 여행 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캠페인이 클룩 고객들에게 착한여행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클룩의 착한여행 상품은 다양한 결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3개 상품 모두 12월 31일까지 카카오페이로 7만 원 이상 결제 시 8천 원 즉시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베트남과 일본의 착한여행은 하나카드 트래블로그 신용카드로 60달러(USD) 이상 결제 시 14%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일본 유빙 투어는 IBK카드로 미화 결제 시 20%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다. 클룩은 크리스마스 맞이 할인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다. 클룩 전 상품 100만 원 이상 결제 시 10만 원 선착순 할인 혜택을 제공해 착한 여행 상품 구매 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외에 아시아, 유럽, 미국 등 여러 국가별 무료 상품과 할인권을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클룩 앱과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기만 해도 행복해지는 12월의 페스티브 외식 프로모션을 확인해 보세요!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 루프탑 바&레스토랑 닉스 레이트 나이트 해피아워 프로모션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의 루프탑 바&레스토랑 닉스(NYX)가 레이트 나이트 해피아워 프로모션 ‘문라잇 밍글’을 실시한다. 연말 모임이 많아지는 11월 20일부터 진행되는 레이트 나이트 ‘문라잇 밍글’ 프로모션은 어둠이 내려앉은 오후 8시부터 10시까지 진행되며, 매주 일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늦은 저녁 시간에 닉스를 방문할 경우에는 주류를 최대 42% 할인된 가격으로 즐길 수 있다. 저녁 식사 후 집에 가기 아쉬운 밤을 더욱 특별하게 즐길 수 있으며, 친구나 가족, 연인 등 소중한 사람들과 어두운 밤하늘 아래 로맨틱한 시간을 보내며 하루를 마무리 할 수 있다. 031-678-5590 서울드래곤시티 연말 한정 이색 프로모션 ‘퐁뒤 플라이트' 신개념 라이프 스타일 호텔 플렉스(HOTEL-PLEX) 서울드래곤시티가 2024년 1월 7일까지 라운지 바 킹스 베케이션(King’s Vacation)에서 겨울 프로모션 ‘퐁뒤 플라이트(Fondue Flight)’를 운영한다. 이용객은 그뤼에르, 에멘탈 치즈에 크림소스를 더한 치즈퐁뒤와 함께 채끝 스테이크, 익힌 채소, 바게트를 맛볼 수 있다. 퐁뒤와 페어링해 즐길 수 있도록 스파클링 와인 3종과 하이볼을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서울드래곤시티는 프로모션 이용객을 대상으로 ‘토블론 초콜릿’을 경품으로 제공하는 해시태그 이벤트도 진행한다. 매일 오후 6시부터 9시까지 2인 기준 12만 원에 이용할 수 있다. 02-2223-7001 제주신화월드 페스티브 뷔페 겨울 미식 열전 ‘겨울 제철 생굴 VS 훈연 그릴 바비큐 제주신화월드의 그랜드 뷔페 ‘랜딩 다이닝’이 겨울 제철 생굴을 활용한 오이스터 프로모션을 시작한다. 통영에서 당일 수급 받은 석화를 셰프가 현장에서 직접 손질해 가장 신선한 상태로 제공한다. 이 외에도 굴을 활용한 스페셜 요리는 물론 굴과 극강의 조합을 자랑하는 블러드 메리를 포함한 칵테일과 하이볼, JSW 시그니처 맥주도 무료로 제공한다. ‘스카이 온 파이브 다이닝’도 홀리데이 분위기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바비큐 디너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바비큐의 풍미를 한층 높여줄 신규 와인도 선보인다. shinhwaworld.com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홀리데이를 빛낼 시그니처 파티 플래터 ‘홀리데이 투 고’ ‘홀리데이 투고’ 세트는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가 단독 개발해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시그니처 초정리 천연 탄산수 염지법으로 24시간 이상 숙성해 따라올 수 없는 쫄깃한 육질을 자랑하는 홀 칠면조 및 너도밤나무의 그득한 훈연 향을 12시간 동안 입혀 풍미가 가득한 바비큐 폭립 등 두 가지 메인 옵션 중 선택 가능하다. 12가지에 이르는 사이드 메뉴는 6~7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풍성한 구성이다. 티라미수 케이크, 칸타구아 리제르바 까베르네 소비뇽 1병, 리유저블 접시 등을 포함한 칠면조 및 바비큐 폭립 홈파티 팩도 주문할 수 있다. 02-2638-3110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 8년째 선보이는 프리미엄 칠면조 구이 세트 ‘JW 터키 투 고’ 셰프팀의 다년간 노하우로 한층 업그레이드 된 이번 JW 터키 투 고는 성인 6인이 푸짐하게 즐기기에 좋은 칠면조 통구이 1마리(6.5kg)를 포함해, 칠면조에 곁들여 먹는 크랜베리 소스, 그레이비 소스, 브레이징한 적양배추가 준비된다. 사이드 메뉴로는 BLT의 시그니처 팝 오버 브레드, 요거트 드레싱이 더해진 콥 샐러드와 닭가슴살 시저 샐러드, 샤퀴테리와 치즈 플래터, 귀리의 식감이 특징인 트러플 귀리 리조또, 클램 차우더, 다진 쇠고기에 으깬 감자를 올려 구운 영국식 코티지 파이, 구운 옥수수 등을 포함한다. 디저트로는 독일의 크리스마스 시즌 대표 음식 슈톨렌과 단호박 타르트가 함께 제공된다. 02-2276-3320 그랜드 하얏트 서울 마음까지 따뜻해지는 취향 맞춤 선물 ‘페스티브 햄퍼 & 투 고’ 그랜드 햄퍼는 샴페인의 대명사 돔 페리뇽 브뤼와 안주로 곁들이기 좋은 최상급 캐비아, 델리 홈메이드 초콜릿 봉봉과 오렌지 초콜릿 스틱이 담겨 있다. 와인 햄퍼에는 피오 체사레 레드와인이, 샴페인 햄퍼는 루이나 블랑을 메인으로 최고의 마리아주를 이루는 까눌레, 쿠키, 초콜릿 봉봉 등으로 구성됐다. 스위트 햄퍼는 슈톨렌과 까눌레, 쿠키, 오렌지 초콜릿 스틱 등 어린아이까지 모두가 즐길 수 있다. ‘페스티브 투 고’ 세트는 통 오리구이, 삽겹살, 돼지갈비, 꽃등심 등 프리미엄 육류로 구성된다. 02-799-8167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 오뜨 파티세리에서 선보이는 페스티브 케이크와 베이커리 9종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은 9가지의 케이크와 베이커리 컬렉션을 새롭게 출시한다. 동화 속 오두막을 연상케 하는 ‘스트로베리 하우스 케이크’는 부드러운 화이트초콜릿 무스를 베이스로 수제 쿠키로 만든 집을 올려 바삭한 식감에 부드러운 달콤함이 특징이다. 화이트초콜릿에 블루베리와 바닐라 빈 크렘 브륄레를 더한 ‘북극곰 무스케이크’는 초콜릿으로 만든 이글루와 북극곰을 올려 아기자기한 매력이 돋보인다. 통나무 모양의 크리스마스 전통 케이크인 ‘뷔슈 드 노엘’은 특색 있는 디자인과 깊이있는 초콜릿의 진한 맛을 즐길 수 있다. 032-835-1000 파라다이스 호텔앤리조트 다양한 취향에 따라 선택 가능한 크리스마스 시즌 한정 케이크 파라다이스시티는 크리스마스 케이크 4종과 브레드 2종을 판매한다. 신선한 딸기를 듬뿍 올려 트리를 형상화한 시그니처 케이크 ‘딸기 트리’를 비롯해 털장갑과 뜨개질 무늬를 표현한 ‘스위트 오팔리스’ 등 다양한 구성으로 취향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파라다이스 호텔 부산의 ‘파라다이스 부티크’는 크리스마스 케이크 8종을 출시했다. 쿠키 슈와 바닐라 크림으로 루돌프를 재현한 ‘루돌프’, 트리 오너먼트 모형의 초콜릿으로 장식한 ‘크리스마스 타워’ 등을 만나볼 수 있다. 파라다이스시티와 공동으로 선보인 ‘딸기 트리’, ‘스위트 오팔리스’, ‘마다가스카르 바닐라 케이크’도 구매할 수 있다. paradise.co.kr 포시즌스 호텔 서울 무심한 듯 절제미 살린 럭셔리한 페스티브 케이크 2종 포시즌스 호텔 서울은 ‘미니멀’과 ‘클래식’을 키워드로 ‘올드머니룩’의 특징을 갖춘 케이크 2종을 선보인다. ‘레드 크리스마스 케이크’는 다양한 향신료가 어우러진 부드러운 크림, 달콤한 초콜릿 무스, 상큼한 체리 콤포트, 얇고 바삭한 비스킷으로 다채로운 식감과 조화로운 맛을 전한다. 새하얀 눈이 오는 성탄절, 크리스마스트리 아래 놓인 선물 상자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미니멀한 디자인의 ‘화이트 크리스마스 케이크’는 각종 초콜릿 데커레이션과 우유 파우더를 덮은 새하얀 고깔 모양 외관에 바닐라와 캐러멜을 더했다. 02-6388-5500 스타벅스 크리스마스 대표 음료 ‘토피 넛 라떼’와 ‘핑크 캐모마일 릴렉서’ 크리스마스 대표 음료로 자리 잡은 '토피 넛 라떼'는 부드러운 버터와 구운 견과류의 고소한 풍미가 에스프레소와 어우러진 달콤한 음료다. 겨울 음료 캐모마일 릴렉서도 연말 파티에 잘 어울리는 은은한 분홍빛의 샴페인 같은 비주얼로 돌아왔다. 부드러운 크림치즈와 레드벨벳 시트로 산타가 떠오르는 '산타 레드 벨벳 치즈 케이크’, 초코와 상큼한 체리가 어우러진 ‘체리 포레누아 케이크’ 등, 연말 파티와 잘 어울리는 케이크 4종도 선보인다. 이 밖에도 크리스마스의 화려함과 반짝임을 담아낸 홀리데이 매지컬 텀블러와 머그 등 소중한 사람들과 행복한 연말을 보낼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을 준비했다. starbucks.co.kr 할리스 연말 맞이 홀리데이 시즌 메뉴 3종 ‘홀리데이 돌체 라떼’는 부드러운 리스트레또 샷이 우유, 연유와 어우러진 라떼 음료다. 트리 모자를 쓴 할리스의 곰돌이 캐릭터 할리베어 초콜릿과 형형색색의 크리스탈 슈가를 토핑해 크리스마스 무드를 한층 끌어올렸다. ‘윈터 제주 레몬 애플 티’는 티와 과일이 만나 이색 조화를 이루는 스페셜티(Special Tea) 메뉴다. 향긋한 제주 레몬과 달콤한 사과 과육, 상큼한 레드 커런트가 선사하는 새콤달콤한 맛이 특징이다. 할리스의 겨울 시그니처 메뉴 ‘우리 고구마 라떼’는 100% 국내산 고구마가 선사하는 진한 맛으로 겨울마다 고객의 발길을 이끄는 음료다. 달콤한 고구마와 고소한 우유가 어우러진 깊고 진한 맛뿐 아니라, 따뜻한 색감으로 마음마저 녹이는 비주얼을 완성했다. hollys.co.kr 포트넘 앤 메이슨 연말 분위기 무르익게 하는 크리스마스 시즌 한정 제품 8종 ‘피그 블랙티’는 은은한 꿀과 잘 익은 무화과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잎차로 추운 겨울에 따뜻하게 즐기기 좋다. 매년 연말 시즌에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온 ‘플럼, 애플, 시나몬 인퓨전’은 과일과 향신료를 한 곳에 담아 달콤하면서도 쌉싸름한 맛이 특징인 디카페인 차다. 차를 우릴 때 나타나는 짙은 붉은색이 연말 분위기를 더욱 무르익게 한다. ‘크리스마스 티 비스킷’은 진한 홍차향과 고소한 버터 맛이 특징이다. ‘크리스마스 미니 메리 고 라운드 뮤지컬 비스킷’은 초코칩과 캐러멜을 더해 달콤함을 극대화했다. 틴 케이스를 돌리면 징글벨 음악이 흘러나와 소장 가치가 높다. ‘3D 어드벤트 캘린더’는 피카딜리 매장 외관의 모습을 담은 문을 하나씩 열면 포트넘 특유의 감성적인 일러스트를 발견할 수 있다. fortnumandmas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