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음료를 요리한다
베브릿지 조현우·김연지 대표
세계 맥주 전문점, 세계 과자 전문점이 아니다. 세계 음료 전문점인 베브릿지는 전 세계의 다양하고 재미있는 음료를 제공한다. 2012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창업 동아리에서 시작해 어느덧 21곳의 가게를 오픈했다. 프랜차이즈 확장을 통해 브랜드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있으며 한편으론 프랜차이즈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갖고 젊은 창업자로서 업계에 반향을 일으키고자 한다. 단순히 음료를 파는 가게를 넘어 음료라는 간접 경험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을 연결하고, 세계를 잇는 다리가 되는 것을 꿈꾸는 베브릿지의 조현우, 김연지 대표를 만나봤다.
동아리 방에서 시작해 해외 진출을 노리기까지
베브릿지는 한국외대 창업동아리에서 탄생했다. 동아리 회원이었던 조현우 대표(이하 조 대표)와 김연지 대표(이하 김 대표)는 무엇이든 다 해볼 수 있는 창업에 매력을 느꼈다. 조 대표는 “주변에 우후죽순생기는 카페가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일이라 여겨져 커피를 시작했다. 물론 아주 큰 오산이었다. 동아리방에 공정무역카페를 열었지만 하루에 10잔도 팔지 못했다. 음료 업계가 가벼운 마음으로 발 담굴 곳이 아니란 걸 깨달은 후, 본격적으로 창업 공부를 시작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현장답사, 음료 시장에 관한 분석까지 처음부터 다시 발을 내딛었다. 제일 잘할 수 있는 것, 대학 상권에서 가장 수요가 있는 것을 고민하며 ‘우리만의 것을 해보자’는 생각으로 다시 마음을 잡았다.
외국인 학생이 많은 학교 특성상 외국 음료를 팔면 경쟁력이 있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오른 조 대표는 세계 각국의 음료를 만드는 것을 기획했고, ‘재밌다, 좋다’라는 호응을 해준 것은 김 대표뿐이었다. 그렇게 두 대표는 스페인의 샹그리아, 인도네시아의 떼마니스, 대만의 쩐주나이차 등 다섯 개의 음료를 토대로 창업을 시작했다. 물론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카페인을 소화하지 못하는 조 대표는 레시피 개발 과정에서 카페인 과다 복용으로 응급실에 실려 가기 일쑤였고, 해외 음료를 다루다 보니 완성시킨 메뉴의 재료가 수급이 끊기는 등 수많은 시행 착오를 거쳤다.
하지만 한국외대의 각 나라 동문들의 도움을 받아 현지인들은 물론, 국내 소비자들의 입맛에 꼭 맞는 음료를 만들었다. 그렇게 8년 동안 21곳의 베브릿지가 오픈했고, 앞으로 예정된 곳까지 합치면 32곳이 된다. 베브릿지는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는 획기적인 아이템으로 이미 12개국에서 해외진출 제안을 받았지만, 두 대표는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판단, 국내에서 안정화를 이룬 후 해외에 진출 할 계획을 하고 있다.
스토리가 있는 다양한 음료를 요리한다
베브릿지의 메뉴는 각 나라에서 유명한 음료로만 선정하지 않는다. 시기, 트렌드와 상관없이 세계 각국의 재미있는 음료들을 지속적으로 찾아보며 스토리와 재료에 꽂힌다. 프랑스 친구가 누텔라로 쉐이크 만드는 가게를 추천해줘 그곳에서 신메뉴 ‘누텔라 쉐이크’의 영감을 받았고, 현재 베브릿지 판매 원톱 메뉴가 됐다. 베브릿지는 음료에 일차원적으로 접근하지 않는다. 음료를 마시며 각 나라의 문화를 느끼고, 세계 여행의 욕구를 조금은 풀 수 있도록 한다. 메뉴판에는 다른 나라 국기들이 한 가득이고, 쿠폰을 찍는 카드 역시 여권 모양으로 디자인됐다. 음료를 마실 때 다른 나라의 문화와 배경을 쉽게 알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도 개발 중에 있다. 맛도 놓치지 않았다. 조 대표는 베브릿지의 음료를 ‘요리한다’고 표현한다.
가령 딸기 음료를 만들 때 대부분의 카페에서 딸기시럽을 사용하는 반면, 베브릿지는 딸기 120g을 간 후 생딸기를 가득 얹는다. 조 대표는 “음료 제조에 대한 지식도 없었던 데다 벤치마킹할 대상도 없었다. 그저 만들고 싶은 음료를 정해놓고 그 맛을 구현하기 위해 요리하듯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했다. 그렇게 접근하고 보니 오히려 음료 레시피에 대한 원론적인 접근도 가능해졌고, 식재료에 대한 이해도 생겼다.”고 이야기하며 “이제와 생각해보면 오히려 다른 브랜드를 벤치마킹 하지 않은 것이 우리 브랜드만의 퀄리티를 차별화하는 데 도움이 된 것 같다.”고 전했다. 그의 말처럼 베브릿지에는 대개 다른 카페에서 할애되지 않는 식재료 전처리 시간이 있다. 조 대표는 그 과정을 국밥집에서 사골을 우리는 것에 비유하며 1000원 짜리 저가 음료 브랜드와는 다르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프랜차이즈 본사의 기본, 노하우 전수와 상생에 충실할 것”
베브릿지에는 약 30여 가지의 음료가 있다고 들었다. 베브릿지 메뉴 개발은 어떤 과정을 통해 이뤄지나? 조현우 시기나 트렌드와 상관없이 세계 각국의 재미있는 음료들을 지속적으로 찾아보고 기획한다. 한국외대 동문들이 있어 그들의 도움을 많이 받는 편이다. 외국인 친구들이 그리워하는 현지 음료를 추천받아 관련 스토리를 듣고, 레시피도 이들에게 부탁해 현지 사이트에서 현지 언어로 해석했다. 일반인들은 접근하기 힘든 정보들을 언어로 푼 것이다. 그리고 최대한 그 나라의 재료들을 가지고 레시피를 고안해 낸 후 이 맛이 맞다고 판단되면 다시 한국 재료들을 가지고 레시피를 수정한다. 테이스팅도 현지 친구들에게 부탁한다. 한국 사람들이 갑자기 열무 김치를 만들 순 없지만 맛은 아는 것처럼, 현지인의 입맛에 맞으면 성공한 레시피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
재미있는 스토리가 있는 메뉴들을 선정한다고 했는데, 어떤 메뉴가 있을까? 조현우 대학생 때부터 가게에서 파트타임으로 일도 하고 친하게 지내던 외국인 친구들이 많이 있다. 어느 날, 프랑스 친구가 고향 집 근처, 누텔라로 쉐이크 만드는 가게 얘기를 해줬다. 그 스토리와 재료에 꽂혀 몇 개월간 연구를 해 ‘누텔라 쉐이크’가 탄생했고 현재 베브릿지 판매 원톱 메뉴가 됐다. 또, 베네수엘라 친구에게 추천을 받아 공부 후 만든 코코넛 음료인 ‘꼬까다 베네수엘라’는 매장에 걸어놓을 현지 사진이 필요했다. 구글링한 사진을 함부로 쓸 수는 없었다. 음료를 추천해 준 친구의 어머니가 현지 ‘꼬꼬다 베네수엘라’를 해변에 놓고 사진을 찍어 보내주기도 했다.
김연지 누룽지 과자를 좋아해 먹고 있는데, 조대표가 문득 5분 만에 ‘누룽지 프라페’를 만들었다. 이에 메뉴 설명에 ‘유일한 자체 메뉴에요. 누룽지를 좋아하거든요.’라고 썼다. 인기가 좋았는데, 마니아들이 많았음에도 재료 수급이 어려워져 메뉴를 내렸다. 대개 이렇게 즉흥적으로, 좋아하는 메뉴들을 많이 고안하는 편이라 재미난 스토리를 가진 메뉴들이 많다.
메뉴가 많게 느껴지기도 하는데.
생소한 음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어떤가?
무엇을 마실지 고민하는 소비자들에게 어필하는 방법은?
![]()
“세계 각국 음료 통해 다양한 사람들을 연결하고자 해”
해외 진출을 한다면, ‘코리아’라는 카테고리에는 어떤 음료를 넣고 싶은가?
프랜차이즈 시장으로 진출하게 된 배경은?
대개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가맹점을 확장하는 것에 급급한 경우가 많은데 베브릿지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것 같다. 베브릿지의 프랜차이징 철학이 궁금하다.
가맹점주 선별에 기준이 있다면?
다문화가정 기부, 저소득층 생계비 지원 등 사회적 공헌 활동을 많이 해오고 있다. 배경이 있다면?
베브릿지의 창립이념은 비단 사회공헌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가맹점주와의 상생과도 연결되는 것 같다. 작년에는 ‘착한 프랜차이즈’ 인증도 받게 됐다고 들었다.
마지막으로 베브릿지가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를 이야기한다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