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에 호텔업이 발달한 이유 베트남 하노이에서 비행기로 1시간 50분 걸리는 홍콩, 10년 전 방문한 적 있던 이곳에 지난해 12월, 연말 호텔의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느끼고 구정 햄퍼 세트와 새로운 식음료 트렌드를 경험하기 위해 방문하기로 하고 그 전에 홍콩 역사에 대해 잠깐 공부를 해봤다. 홍콩의 기원지인 광동성 일대는 고대의 월(越/粵) 내지 남월(南越) 지방이라고 했는데 ‘월나라보다 남쪽’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들은 진나라 및 한나라 등 한족 왕조의 정복으로 인해 복속되고 전란을 피해 중국 대륙 중 북부의 한족들이 남쪽으로 이주해 섞여 들어와 한족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DNA도 홍콩인이나 광둥성, 광시좡족자치구, 하이난성 쪽의 한족은 중원이나 화북 지방의 한족보다 오히려 베트남인, 태국인과 유사하다. 또한 이곳 홍콩은 원나라 때 베트남과 미얀마를 정벌하는 기지로 사용됐으며 명나라가 들어서면서 포르투갈에 마카오를 떼 주고 세금과 서양 문물을 배우기 시작한 곳이기도 하다. 1841년, 제 1차 아편전쟁 후 영국 해군에 의해 점령된 홍콩은 1898년 홍콩과 인접한 북부섬(新界, 신계)을 99년간 조차했으며 유효기간은 1997년까지였다. 19세
지난 호 미국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필자가 직접 겪고 느낀 홍콩의 조직문화에 대해 이야기해보겠다. 홍콩에서 근무하면서 가장 신기했던 점은 이직이 빈번하게 이뤄진다는 점이었다. 홍콩의 경우 호텔업은 식음료와 항공사를 뛰어넘는 최대 이직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2018년은 중국에서 방문하는 인바운드 관광객 및 기업 출장 수요의 증가로 인해 Occupancy 및 ADR 또한 최고의 실적을 기록했다. 실적 상으로 최대 매출로 정점을 찍었지만, 늘어나는 수요로 인해 새로운 호텔들이 오픈하면서 호텔리어의 수요 또한 경쟁이 심화됐다. 홍콩의 홍콩섬, 구룡반도주 외에 신계(New Territory)까지 호텔 객실 공급이 늘어나면서 특히나 Front-of-House 운영팀(객실/식음료 및 고객응대 부서) 직원 수가 부족했다. 운영 부서 외에도 인재 채용 경쟁은 2019년에도 계속됐는데, 일례로 5성급 호텔의 판촉부서팀 이사가 이직을 하면서, 함께 일하던 직원 10명 이상이 3개월 내 함께 퇴사를 하고 새 호텔에 합류하면서 기존 호텔의 판촉 업무를 운영 부서까지 나눠서 했다는 무서운 사례가 있다. 홍콩 호텔리어 커리어는 원하던 원치 않던 반복되는 채용과 면접을 진행하게 된다
일본과 함께 아시아 최고 미식도시로 손꼽히는 홍콩. 최고급 레스토랑들부터 유서 깊은 현지 맛 집까지 다양한 종류의 음식들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호텔 레스토랑들도 유명한 곳이 많지만, 이번 호에서는 홍콩의 미식 산업의 평균을 한 단계 끌어 올리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는 레스토랑 그룹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홍콩 내에서 ‘Super Monday’ 프로모션으로 유명한 ‘Dining Concepts’가 가장 대표적인 그룹이다(Super Monday는 상대적으로 외식 수요가 적은 월요일에 그룹 내 레스토랑들에서 메뉴 한 개 주문 시 비슷한 가격대의 다른 메뉴를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모션). Dining Concepts는 지금 CEO인 Sandeep Sekhri(인도인)에 의해서 2002년에 설립됐다. 인도와 홍콩 특급 호텔에서 10여 년의 경력을 쌓은 뒤 그룹 내 Signature 식당이자 필자도 종종 찾는 ‘Bombay Dream’이라는 인도 식당을 연 것이 그룹의 시초가 됐다. 그 이후 자체 브랜드도 있지만, Gordon Ramsay, Mario Batali와 같은 유명 셰프들과의 협업을 통해서 고객들에게 보다 넓은 선택의 폭을 선사했다. 스테이크 레스토랑만 해
2019년 3월 31일, 46년의 역사를 지닌 The Excelsior Hotel의 마지막 오퍼레이션이 마무리 됐다.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 그룹의 호텔들 중 유일하게 ‘만다린 오리엔탈’ 이름을 달지 않고, 4성 호텔로 운영되던 이 호텔이 문 닫는 것을 아쉬워하는 홍콩 사람들이 많다. 1841년 홍콩이 영국 식민지가 된 후 처음으로 토지 경매가 거행됐는데,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 그룹의 모 기업인 Jardine Matheson에게 가장 처음으로 낙찰돼 Lot No. 1을 부여 받은 땅이 이 호텔이 위치해 있는 자리다. 개발을 통해서 1973년, 홍콩 최초의 1000객실 이상 호텔로 오픈했고 코즈웨이베이(Causeway Bay)라는 가장 활발한 상권, 빅토리아 하버가 한 눈에 보이는 최고의 위치에서 46년 간 호황을 누려왔다. 중간에 리노베이션을 거치면서, 가장 최근에는 869개 객실로 운영됐다. 첫 오프닝에 비해서 객실 수가 줄기는 했지만, 여전히 홍콩에서 가장 많은 객실 수를 자랑한다. 객실 수가 많음에도 높은 점유율로 운영돼 왔고, 식음료 업장도 5개나 되다 보니, 2018년 기준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 그룹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할 정도였다(만다린 오리엔
메리어트 인터내셔널(NASDAQ: MAR)은 7000번째 호텔 개장을 발표했다. 7000번째로 문을 연 메리어트 산하의 호텔은 세인트 레지스 홍콩(The St. Regis Hong Kong)으로, 버틀러 서비스와 다양한 레스토랑을 자랑하는 27층 규모의 럭셔리호텔이다. 세인트 레지스 홍콩은 홍콩과 같이 급성장하는 국제시장과 고층 숙박시설에 집중하는 메리어트의 글로벌 확장 전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메리어트의 첫번째 호텔은 1957년 버지니아주 알링턴에 문을 연 트윈 브리지 메리어트(Twin Bridges Marriott)로 4층짜리 모터 호텔 (motor hotel)로 운영된 바있다. 메리어트 인터내셔널 사장겸 CEO인 안소렌슨(Arne Sorenson)은 "7000번째 호텔을 오픈하게 돼 매우 감격스럽다. 이는 1927년 의자 9개짜리 루트비어(root beer) 가판대로 시작해서, 수십년이 지나도록 첫번째 호텔조차 오픈하지 못했던 회사에게 믿을 수 없는 결과물이다."며, "메리어트는 스타우드와의 합병을 통해 럭셔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아시아에서 더 많은 기회를 확보하게 됐다. 세인트 레지스 홍콩은 스타우드와의 합병으로 파생된 혜택을 알릴 수 있는 가장
세계적 환경 벤치마킹 프로그램인 EarthCheck 실버 등급 호텔로 3년 연속 선정된 도르셋 완차이 홍콩(Dorsett Wanchai Hong Kong)이 새롭게 내놓은 Dorsett Ecovalue+ 친환경 프로그램을 통해 투숙객들과 함께 환경 보호 활동에 나서기로 했다. 이 프로그램은 부분 객실 정리 서비스만을 제공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하며 투숙 고객에게는 이용료가 600 홍콩달러인 미니바 1회 무료 이용 혜택이 제공된다. 애니타 챈(Anita Chan) 도르셋 완차이 호텔 총지배인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벌이는 환경친화적 활동은 불편을 초래하려는 것이 아닌, 가치 있는 숙박 경험을 제공하기 위함이라는 점을 고객에게 알려 드리고자 한다”면서 “객실 정리 서비스를 일부만 제공해 도르셋 완차이 홍콩 호텔의 물과 전기 사용을 줄일 수 있고, 무엇보다 집에서 냉장고를 이용하듯이 미니바를 무료로 마음껏 이용할 수 있어 마치 고객이 집에 있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할인 혜택 및 Dorsett Value를 통한 환경 보호 도르셋 완차이는 친환경 프로그램 론칭을 기념하기 위해 한정된
2019년 미쉐린 가이드 홍콩판이 지난해 12월 발표됐다. 11년차를 맞이하는 홍콩판 미쉐린 가이드, 오랜만에 별 3개짜리 레스토랑이 추가됐다. 바로 포시즌스 홍콩의 Caprice(카프리스). 사실 카프리스는 완전히 새롭게 등장한 3스타 레스토랑은 아니다. 2009년에 2스타로 미쉐린 가이드에 데뷔를 하고 바로 다음 해에 3스타를 받아 3년 연속 그 명성을 유지하다가 2014년에 2스타로 떨어진 후 지난해까지 5년간 반등하지 못해 왔다. 그러다가 2년 전부터 카프리스 주방을 책임지고 있는 Guillaume Galliot 셰프의 노력으로 인해 2019년 드디어 3스타로 복귀했다. 셰프로서 얼마나 영광스러운 순간일지 상상이 간다. 또한 포시즌스 홍콩에는 새로운 미쉐린 스타 레스토랑이 생겼다. 이미 일본에서 3스타를 받고 있는 Sushi Saito가 지난해 4월 포시즌스 홍콩에 직영점을 열었고, 2019년에 바로 2스타를 받아 그 명성을 이어갔다. 게다가 세계 최초의 미쉐린 3스타 중식당인 Lung King Heen까지, 총 8개의 별을 보유한 호텔로 거듭났다. Sushi Saito의 등장은 홍콩 미쉐린 가이드 기록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게 됐다. 2018년까지 만다
2018년의 홍콩 호텔 시장은 어느 때보다 호황이었다. 2017년부터 홍콩 인바운드 인구의 증가 및 기업과 관광 수요 증가로 인해서, 홍콩섬, 구룡반도를 불문하고, 호텔들은 자체 목표치를 초과하는 건 당연한 것이 됐고, 경쟁사보다 더 큰 성장률을 끌어내기 위해서 치열하게 싸워왔다.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그랜드하얏트 홍콩의 경우에도, 1년 내내 목표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올려 왔고, 특히 10월과 11월에는 호텔 오픈 역사상(29년의 역사) 가장 높은 객실 매출을 달성했지만, 경쟁 호텔들과 RevPar Index를 비교했을 때는 만족할만한 결과라고 자부할 수 없을 정도로 빡빡하게 돌아간 한해였다.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은 수요 증가와 함께 호텔 객실 공급도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실적을 올린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오프닝은 2018년 1월에 그랜드오프닝을 한 The Murray Hong Kong, a Niccolo Hotel의 336개 객실과, 7월에 문을 연 665개 객실의 Hotel Vic on the Harbor의 등장이 있었다. 이 두 호텔은 오너사의 자체 브랜드이기 때문에 더욱 신경을 쓰고, 많은 투자를 해 지은 호텔들이다. 각각 글로벌 체인 5성과 로
페닌슐라 홍콩(90년), 만다린 오리엔탈(55년), 그랜드 하얏트/아일랜드 샹그릴라(29년) 등 홍콩에는 역사가 깊고 상징적인 호텔들이 참 많고, 지속적으로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호텔들과 역사를 함께하다 사라진 호텔들도 여럿 있어 소개코자 한다. 현재 홍콩 내 힐튼 그룹 계열 호텔은 Conrad와 Hilton Garden Inn 두 곳 밖에 없다. 하지만 가장 먼저 생긴 힐튼 호텔은 Hong Kong Hilton Hotel이다. 1963년 6월에 26층, 750객실, 홍콩섬 유일의 5성 호텔이자 미주 지역 밖에서 가장 큰 규모의 힐튼 호텔로 오픈했다.(같은 해 10월에 만다린 오리엔탈 홍콩이 오픈하며 ‘홍콩섬 유일 5성 호텔’ 타이틀은 4달 밖에 가지 못했다.) 홍콩 최고 부호 리카싱의 Hutchison Whampoa에서 개발하고 힐튼에게 50년 경영 계약을 맡겼는데, 홍콩 내 경제 발전 및 글로벌 기업들의 아시아 비즈니스 성장에 따른 프라임 오피스 수요 증가로, 상업 건물(현재의 Cheung Kong Center/리카싱의 집무실이 있는 상징적 건물)을 짓기 위해 1995년 5월 1일부로 영업을 종료했다. 호텔이 문을 닫으면서 850명에 달하
HKZMB는 Hong Kong-Zhuhai-Macau Bridge의 약자로서 2018년 7월 1일 개통하는 세계에서 가장 긴 대교다. 총 투자금액이 159억 달러(17조 원)에 이르고, 그 길이가 55km로서 홍콩, 주해, 마카오 3개 도시를 잇게 된다. 보다 나은 경제, 물류, 관광 효과를 위해서 홍콩과 마카오의 중국 반환(1997년) 이전 시기인 1983년에 논의가 시작됐고, 사전 가치 평가, 투자 분석 및 조달에 관한 조율을 통해 2009년 12월 착공 후 8년 반 만에 개통 예정에 있다. 주해는 마카오 옆에 붙어있는 광동성 중남부 지역의 도시이고 심천과 함께 경제 특구로 지정돼 있다. 그동안 주해는 홍콩에서는 마카오를 거쳐야만 갈 수 있는 도시여서 가까운 듯 먼 도시로 취급돼왔다. 마카오도 페리와 헬리콥터만이 유일한 교통수단이기 때문에 폭우경보나 태풍경보라도 발효가 되면 발이 묶이는 상황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게다가 가장 저렴한 옵션인 페리비용이 편도 5만 원정도 해서 부담 없이 자유롭게 이동하기는 어려운 이웃 도시다. 차량을 통해서 주해를 거쳐 마카오까지 가는 육로 옵션이 있기는 하지만 반도를 둘러서 많이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대략 4시간 반 정도
2017년도 홍콩 경기는 유래 없이 좋았다. 전 세계적으로 금융 경기가 상승세에 있다 보니 투자가 활발해지고 아시아 금융허브 홍콩으로의 유입 인구가 증가해 홍콩 호텔들에게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줬다. 사상 최대의 실적을 낸 호텔도 있고 대부분의 호텔들이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내며 2017년을 마무리했다. 이러한 상승세가 바로 꺾이진 않을 것이라는 게 많은 전문가들의 입장이고 이러한 분위기로 인해 호텔 오너 및 운영사들의 기대치는 한껏 높아졌다. 호텔시장 비교분석 전문 업체인 STR에 따르면 아시아 호텔들의 2018년 1분기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1.5% 상승했고, 평균 가격도 3%로 증가했다. 홍콩의 경우에는 아시아 지역 평균보다 높은 점유율 상승률(3.5%)을 보였고, 평균 가격도 10.7%나 증가했다. 이러한 상승 무드는 중국시장이 선도하고 있다. 홍콩 관광청 통계 자료에 의하면 2018년 1분기 전체 방문객은 전년 대비 9.6% 상승했는데, 중국인 방문객이 12.9% 증가(130만 명 증가)해서 타 시장의 2~3%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평균이 형성됐다. 이 숫자들을 ‘방문 후 1박 이상 숙박을 한 인원’으로 좁혀보면 전체 7.2% 증가한 것이다
아시아 금융·경제의 중심지인 홍콩은 중계무역으로 인한 비즈니스 회사들이 포진돼 있으며 그들이 자주 다녀가기에 호텔산업 또한 발전됐다. 메리어트 호텔 또한 그들을 유치하고자 마이스 산업을 중시하며 그중 메리어트 인터내셔널 브랜드의 특징이 두드러진 곳은 홍콩 스카이시티 메리어트 호텔과 올 7월에 오픈 예정인 홍콩 오션파크 메리어트 호텔이다. 야경이 아름다운 도시 홍콩에서 마치 타임 슬립하듯 시간의 흔적이 느껴지는 홍콩 스카이시티 메리어트 호텔과 홍콩 최대 해양테마파크인 오션파크에 위치해 가지각색의 화려함을 지닌 홍콩 오션파크 메리어트 호텔의 공간을 조명한다. 이번 H Brand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호텔 브랜드인 메리어트 호텔을 담았다. 항공사 직원들의 ‘워너비 호텔 1순위’ 홍콩 스카이시티 메리어트 호텔 란타우섬(Lantau lsland)에 위치한 홍콩 스카이시티 메리어트 호텔은 홍콩국제공항과 가까이 있으며 최고의 공항 호텔로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최근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에서 홍콩 세븐스 팸투어를 진행해 3박 4일 동안 숙박했는데 호텔의 외관과 내관이 화려하진 않지만 섬세한 서비스와 고풍스러운 분위기로 기자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현재 홍콩 스카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