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호텔들의 호캉스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호텔 멤버십을 스마트하게 누리는 고객이 늘어나고 있다. 기업의 충성고객을 확보하는 가장 대표적인 전략인 멤버십 프로그램인 만큼 호텔들은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가입비 부담을 줄인 멤버십 상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호텔은 연회장, 외식, 웨딩 등 공간 서비스 사업을 진행하면서 프론트나 백오피스 등 상용근로직을 제외하고도 간접고용 형태로 채용하는 일용직, 파견 등 다양한 근로 형태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꾸준히 호텔의 고용 구조 내 이런 임시직, 초단시간 근로자 등에 대한 고용불안정성 문제가 꾸준하게 제기돼 오던…
산토리니로? 답답하기만 하고 도무지 끝날 것 같지 않던 한 시기가 있었다. 신춘문예 같은 곳에 소설을 투고한 지 10년이 다 될 동안 나의 글들은 어느 것도 데뷔작이 돼주지 않았다. 재고품처럼 나중에 요긴하게 쓸 수 있다는 소리를 위안으로 삼기는 했으나 낙방하는 해가 거듭될수록 창작 동력은 뚝뚝 떨어졌…
누구나 한번쯤은 아늑하고 편안한 공간에서 하루 종일 책을 읽고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서 쉬는 로망을 품어봤을 것이다. 이것저것 신경 쓸 일이 많은 집에서 벗어나 청소를 걱정할 것 없이 온전히 나를 위한 시간을 갖는 것. 코로나19로 인해 내국인 마케팅이 중요해지면서 호텔은 단순히 숙박 공간을 제공하는…
내국인 호캉스 열풍이 식을 줄 모르면서 호텔의 콘텐츠들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치열하던 경쟁 속에 내국인으로 한정돼 버린 수요로 인해 호텔들이 더 새롭고, 더 의미 있는 가치를 전달하는데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많은 호텔이 다양한 경험과 라이프 스타일을 제공하는 ‘복합…
사회 전반적으로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이 일반화되며 대면 서비스의 정수를 지향하던 호텔의 서비스 방향이 모호해지기 시작했다. 게다가 운영 효율화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호텔은 조직 개편을 단행, 전반적으로 호텔 내 인적 인프라가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프런트, 벨데스크, 컨시어지, 하우스키핑 등의…
코로나19로 인해 관광업계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적합한 인재양성과 채용 기준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산업체는 적합한 인재채용을, 지원자는 교육을 통해 직무 이해도를 높여 최대한 미스매치를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무엇보다도 산업체와 인재, 정부와 현장의 이음새가 돼 줄 기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코로나19로 호텔의 인적 서비스 영역이 줄어들고 있다. 극심한 영업난으로 호텔은 인력 운용의 효율화를 꾀하기 시작했고, 감염병 이슈가 계속되자 비대면 서비스를 권장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됐기 때문이다. 이에 비대면으로 대체될 수 있는 서비스들은 키오스크, 태블릿, AI, QR 등의 기술이 호텔리어의…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일상은 업무 방식의 변화도 이끌었다. 감염병 이슈의 장기화로 재택근무와 유연근로시간제, 거점오피스 제도 등 새로운 근무형태가 새로운 일상으로 자리매김했으며, 나아가 양립할 수 없어 보였던 일과 휴가를 병행하는 워케이션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추세는 비단 여행을 갈…
코로나19로 제한된 일상생활이 장기전에 돌입하자 신체, 정신, 사회적 만족감을 높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웰니스(Wellness)’가 다시금 관광 키워드로 각광 받고 있다. 웰니스는 웰빙(Well-being)과 피트니스(Fitness)의 합성어로 몸과 마음, 정신이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의미, 최근에는 행…
한국호텔업협회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정책관 관광산업정책과의 위탁을 받아 매년 <호텔업 운영현황(국가승인통계 : 승인번호 제113007호)>을 발간하고 있다. 이는 관광객의 호텔 내 객실 및 부대시설 등 이용현황을 정기적으로 조사·분석해 관광호텔업계의 경영환경을 파악함으로써 관광…
2020년 1월,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퍼지기 시작한 지 어느덧 2년이 지나 2022년을 맞이했다. 팬데믹 1년 차에는 종식만을 기다리며 하릴없는 1년을 우왕좌왕 보냈고, 종식이 그리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실감하게 된 2년 차에는 방역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하루속히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다방면의 노력을…
코로나19로 많은 호텔들이 효율적인 인력 운용을 추구하며 호텔리어의 역할에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최소한의 인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이끌어 내는 것이 생존 과제가 되면서 여러 부서에 적응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직원들이 필요해졌으며, 비대면 서비스가 공공연하게 적용됨에 따라 IT, 디지털, 시스템과…
<호텔앤레스토랑> 매거진은 1991년 4월 창간된 이래로 단 한 번의 결간 없이 호텔산업 및 외식산업과 희로애락을 함께한 국내 유일의 호스피탈리티 산업 전문지다. <호텔앤레스토랑> 외에도 다양한 사업을 통해 업계의 관계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해왔다. 2014년 킨텍스에서 시작한 ‘호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