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최규호의 Hotel IT] Bose 901의 원리와 특성으로 풀어보는 클라우드 컴퓨팅 -①에 이어서.. Reverberation(음의 반사) = 수준 높은 활용 901의 후면에 배치된 풀레인지 유닛 8개는 집의 벽면이나 코너를 부딪쳐 음이 반사되도록 의도됐다. 이를 통해 Bose 박사가 의도한 음의 특성 재현은 i) 공간감의 확대, ii) 입체적인 소리의 결이다. 첫째, 공간감의 확대는 집의 벽과 코너를 반사해서 전달되는 음은 반사각에 따라 청자에게 전달되는 시점이 다르다는 것인데, 소리가 청자에게 다른 주기로 입체적인 반복전달이 이뤄지면 청자는 소리를 다면적으로 인지해 공간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입체적인 소리의 결은 음의 반사로 소리가 전달되는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청자는 소리를 최소 3번 이상 반복듣기를 하게 된다. 아주 짧은 시간 동안(몇 밀리초)같은 소리를 여러 번 느끼게 되면 소리를 더욱 잘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특성 ‘다면성, 반복성’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수준 높은 활용’이라는 특성과 유사하다. 소비자가 공유된 설비와 소프트웨어, 저장소를 활용해 작성한 자료는 중앙에 집적돼 소비자들이 참고·활용이 가능하도록
필자는 음향전문 기업 Bose를 아주 좋아한다. 음향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그 결과물을 세상에 적용시키기 위해 MIT(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음향연구 기업으로 Bose가 설립됐다. 그리고 Bose는 제품을 출시할 때마다 제품을 구성하는 신기술 특허와 관련 논문들이 출판될 만큼 음향에 대한 애정과 의지가 높은 회사다. 그 연구결과물 중에서도 필자는 특히 Bose 901과 301을 가장 좋아하는데, 이 스피커의 원리와 특성을 Bose사의 1960년대 연구논문과 특허문서까지 찾아볼 정도로 탐구했다. Bose 901에 대한 탐구를 마치고서 필자는 Bose 901의 원리와 특성이 4차 산업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인 클라우드 컴퓨팅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아마르 보스(Amar Bose) 박사를 중심으로 한 Bose의 연구진들이 효율성과 활용성을 지향해 조합한 그 원리들의 결과물이 Bose 901이고 이는 클라우드의 기본적 특성들과 유사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에 비유해 쉽게 설명하는 접근을 해보고 싶었다. 인간이 세상을 바라보는 원리는 예나 지금이나 동일하고, 기술이 생겨나고 발전하는 양상도 예나 지금이나 동일하기 때문에 언제나 역사적인 흐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