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나 가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모를 수 없는 이름, 핀 율(FIN JUHL). 이름만 들어도 설레는 그의 가구로 채워진 호텔이 전 세계 최초로 일본 하쿠바(白馬)에 오픈했다. 일본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재현된 핀 율의 하우스를 만나보자. 덴마크 디자인의 아버지 핀 율 덴마크 디자인의 아버지, 나아가 북유럽 디자인의 거장이라고 불리는 핀 율은 1912년에 덴마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건축가이자 산업 디자이너고 특히 가구 디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1940년대 덴마크 디자인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기여했다. 덴마크 왕립 예술 아카데미에서 건축을 전공했고 1945년 개인 사무실을 설립한 후 견고한 목제 가구를 매혹적인 형태로 디자인했다. 1950년대 뉴욕의 유엔 본부 빌딩 컨벤션 센터를 디자인했고, 1951년 시카고 ‘굿 디자인 전시회’에 참석해 미국의 주목을 받으며 세계적인 디자이너로 우뚝 서게 된다.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6개의 금상을, 캐비넷메이커스길드에서는 14개의 상을 받았다. No. 45(1945), No.48 (1948), Chieftain(1949) 등의 의자는 최고의 장인기술, 고도의 표현력, 유동적인 형태가 뛰어나 가구계의 전설이 됐다. 그
하우스 웨딩으로 일본 웨딩 업계의 판도를 바꾼 T&G그룹이 호텔업에 진출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T&G그룹은 호텔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사회공헌 활동에 참여하는 구조를 만들었고, 넓은 테라스에서 바베큐가 가능한 객실 등 독특한 형태의 객실을 선보이는 등 이색적인 콘셉트를 이끌어냈다. 오픈한지 얼마되진 않았지만 주목할 만한 호텔, ‘트렁크 호텔(TRUNK HOTEL)’을 소개한다. 호텔업에 뛰어든 웨딩 업계의 풍운아 일본에서는 호텔 시설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외식업계를 비롯한 다양한 업종들이 호텔 사업에 진출하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웨딩 프로듀스 사업계의 대기업인 ‘테이크 앤 기브 니즈(Take and GiveNeeds)’(이하 T&G) 그룹이 계열사로 TRUNK를 설립하고 호텔사업에 진출해 이슈가 되고 있다. T&G는 연간 약 1만 8000건 이상의 결혼식을 프로듀스하고 있으며, 예식 전체 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일본의 톱으로 꼽히는 웨딩업체다. 초창기부터 단독주택을 전세 로 내어 유럽풍의 게스트 하우스 웨딩의 붐을 일으킨 T&G는 회사 설립 이후
공간의 변화는 시대와 의식의 변화를 보여준다. 오래된 은행과 미술관에 ‘공유’와 ‘지역’이라는 가치를 불어 넣어 호텔로 변화시킨 사례를 통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 있는 의식의 흐름을 찾아볼 수 있다. 은행과 미술관의 변신 홋카이도의 하코다테(函館)에 2017년 5월 26일, 역사적인 건물을 이용한 새로운 호텔인 하코바 하코다테(HakoBA函館)가 오픈했다. 바다를 앞에 두고, 하코다테산을 배경으로 한 베이(bay)지역에 나란히 세워진 특색 있는 두 건물이 용도 변경을 포함한 혁신을 통해 재탄생된 호텔이다. 한 동은 85년 전(1932년)에 야스다은행(安田銀行) 하코다테 지점(函館支店)으로 건설돼, 7년 전까지 호텔 뉴하코다테로 사용하던 건물이다. 하코다테의 문화재 지정 건축물로 지정돼 85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도 그 당시의 건축 색채를 가졌다. 그리고 다른 한 동은 인접한 ‘구 니시하토바미술관(旧西波止場美術館’)을 호텔로 리모델링했다. 이 미술관 건물은 베이지역의 거리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붉은 벽돌의 아름다운 건물이다. 이러한 특징 있는 건물 두 채를 활용, 주식회사 리비타(リビタ)가 프로듀스해 공유 호텔(THE SHARE HOTELS)로 오픈했다. 리
효율성의 극대화를 보여준 캡슐호텔이 일본에서 탄생된 지 40여 년이 돼 간다. 이제 캡슐호텔의 단순한 효율성을 넘어 이미지와 가치를 더한 캐빈호텔이 여성 고객이라는 블루오션을 창출해내기 시작했다. 일본에서 태어난 캡슐호텔일본을 떠올리는 이미지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작고 심플하고 깔끔한 이미지로 귀결된다. 이러한 이미지를 가장 잘 담고 있는 일본적 호텔 형태는 캡슐호텔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캡슐호텔의 역사는 1979년 오사카시(大阪市) 우메다(梅田)에 첫 캡슐 호텔인 ‘캡슐 호텔 인 오사카(カプセルホテルin大阪)’가 문을 열면서부터 시작된다. 캡슐 호텔은 오사카에서 사우나를 경영하고 있던 나카노 유키오(中野幸雄)와 부하직원 후쿠니시토시부미(福西利文)의 발상으로 고안됐다. 그들은 일본을 대표하는 건축가인 구로 카와기쇼(黒川紀章)가 오사카 만국 박람회에서 전시한 캡슐주택을 참고해 그에게 디자인을 의뢰하게 됐고, 이를 통해 캡슐호텔의 형태가 완성된 것이다.캡슐호텔은 큰 방에 2단으로 쌓인 캡슐 모양의 간이침대가 설치돼 있으며, 이용자는 이 캡슐에 들어가 취침하는 형태다. 캡슐 안에는 침구 외에 조명등, 환풍기, 알람시계, 라디오, (천장에 매달려있는)
일본 황실에서도 이용하던 이름난 전통 료칸이 경영난에 처하자, 이들은 자존심보다는 경영회복을 위한 실리를 택했다. 과거의 명성과 영광을 뒤로하고 비즈니스호텔 사업으로 전환해 오랜 적자를 극복해낸 것이다. 프라이드를 버리고 새로운 길을 찾아 나선 카와로쿠의 스토리를 통해 우리는 새로운 생존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전통 료칸에서 비즈니스호텔로의 전환 카가와현(香川県) 타카마츠(高松)에 1877년 창업한 료칸(旅館) 카와로쿠(川六)는 황족들도 묵는 곳으로 알려져 있었다. 카와로쿠는 메이지(明治)시대 초기부터 시대의 문호들에게 사랑받는 다카마쓰 최고의 전통 료칸으로 유명했고, 타카마츠의 유력인사들은 숙박을 할 경우 카와로쿠가 아니면 묵지 않겠다고 말할 정도로 명성이 높아 프라이드가 강한 료칸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그런 영광을 누리던 카와로쿠가 시대의 변화와 함께 경영위기에 빠지게 됐다. 1980년대 버블 경기가 무너지면서 손님이 급감했고 적자 경영이 됐을 뿐만 아니라 당시 5억 엔의 부채까지 안고 있었다. 이렇게 하향일로를 걷던 카와로쿠는 2000년 5대 사장인 타카라다케이이치(宝田圭一)의 취임으로 다시 한번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카와로쿠 오너
프런트 데스크에서 객실키 대신 스마트폰을 건네받고, 객실의 모든 조작을 이 스마트 폰으로 할 수 있다. 여러 기업들과 대학연구기관, 그리고 NPO 법인이 함께 만들어낸 이 스마트한 IoT 디바이스 체험 공간은 후쿠오카(福岡)에 문을 연 작은 호스텔의 이야기다. 일본 최초의 IoT 호스텔 IoT는 ‘Internet of Thing(사물 인터넷)’의 약어로,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을 말한다. 가전제품이나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 공유를 가능하게 만든다. 최근 다양한 기업과 연구 기관이 IoT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실현하고자 제품 개발 및 상용화에 격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이른바 ‘IoT 호스텔’이 생겨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8월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문을 연 ‘& AND HOSTEL(앤 호스텔)’은 11종의 IoT 디바이스를 체험할 수 있는 일본 최초 스마트 호스텔이다. IoT를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은 근래에 많이 생겼지만 이처럼 많은 업체의 IoT 장치가 호스텔에 집결된 것은 처음이다. 프런트에서 객
지역의 거리 곳곳이 호텔이 되고, 그 안에서는 활발한 예술 교류 활동이 펼쳐진다. 기업의 자본이 아닌 크라우드 펀딩으로 원하는 모두가 호텔의 주인이 되고, 호텔 수익금은 참여한 예술가들에게 돌아간다. 바로 이 꿈같은 이야기가 도쿄의 어느 거리에서 현실이 됐다. 지역의 거리 곳곳이 호텔이 되다 도쿄(東京)의 스기나미구(杉並区) 코엔지(高円寺)에는 예술가의 작품으로 꾸며진 객실이 만들어지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하나의 건물로 이뤄진 일반적인 호텔의 형태가 아니라 지역의 여러 공간에서 호텔이 유기적으로 펼쳐지면서 지역 만들기라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이른바 ‘Bed & Art 코엔지(BnA 코엔지)’이다. 이 프로젝트는 일본에서 주목 받는 재능 있는 현대 예술가와 손잡고 여행자가 예술 작품 그 자체로 꾸며진 호텔에서 머물며 ‘예술 속에서 묵는다’는 콘셉트를 목표로 만들어졌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거리 곳곳의 포인트마다 객실을 만들어 거리 전체를 호텔로 만드려는 시도이다. 즉, 종래의 호텔처럼 한 빌딩에서 호텔에서 완결하는 것이 아니라, 코엔지라는 지역의 이곳저곳 여러 건물에 객실을 2~3개 씩 흩어진 형태로 만들어두는 것이다. 게스트들
객실에 비치된 어메니티를 누군가는 모두 이용하거나 살뜰히 챙겨가기도 하겠지만, 다른 누군가는 샴푸만 쓰고 린스는 쓰지 않는다든가, 비치된 비누는 쓰지 않고 본인이 챙겨간 폼클렌징을 쓰기도 한다. 이처럼 어메니티에 관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호텔이 있다.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구입이나 대여가 가능한 가성비 높은 호텔을 만나보자. 인바운드를 타깃으로 적자 해소 아고라 플레이스 아사쿠사는 호텔 재생과 운영을 주 사업으로 하는 아고라 호스피탤리티(Agora Hospitality)가 자사 브랜드 제1호로 2012년에 개업한 호텔이다. 아고라호스피탤리티는 아소(浅生亜也) 대표가 외국계 투자자들의 지원을 받아 경영위기에 놓여있던 동해관광(東海観光)을 2012년 5월 인수하면서 아고라라는 명칭을 붙여 호텔 브랜드 사업을 시작하며 출발했다. 아소 대표는 2007년에 호텔 재생·운영을 맡은 회사를 설립했다. 그 후 2009년에 동해관광(東海観光)이 운영하던 2개의 여관인 이마이소(今井荘)와 난잔소(南山荘)의 운영업무를 위탁받으면서 동해관광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홍콩계 기업의 투자지원을 받은 아소 대표는 동해관광을 인수하고 연이어 오사카 모리구치, 2012년에는 도쿄
호텔 칸라 교토가 오픈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일본의 시대적인 현상이 보인다. 출산율 저하, 학령 인구 감소는 학원 사업의 고전으로 이어졌고, 문을 닫은 학원은 디자인의 가치를 더해 호텔로 다시 태어났다. 학원의 이유 있는 변신, 그 중심에 호텔 칸라 교토가 있었다. 오픈 배경과 UDS 디자인 회사인 UDS주식회사(대표이사 나카가와中川敬文)는 일본 대형 철도 회사인 오다큐 전철(小田急電鉄)의 모체 오다큐 그룹(小田急グループ)의 계열회사로, 2010년 입시학원인 요요기 제미널(代々木ゼミナール)의 교육시설을 호텔로 리모델링해 ‘호텔 칸라 교토(ホテルカンラ京都’)를 오픈했다. 그리고 2016년 10월 17일, ‘호텔 칸라 교토’는 리뉴얼 오픈을 하면서 디자인 호텔로 거듭났다. 이번 리뉴얼로 객실은 기존 29실에 39실을 더한 68실이 됐고, 카페&숍, 철판 요리 레스토랑, 이탈리안 레스토랑, 스파 등 부대시설을 새롭게 오픈했다. 최근 일본은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해 대학진학자 수가 줄자 학원들이 연이어 도산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 넘버원으로 꼽히는 입시학원 요요기 제미널은 이런 변화에 대응해 교육시설의 매각과 함께 교육 관련 사업을 줄이고 부동산 사업으로
몇 해 전 ‘꽃보다 할배’라는 연세 지긋한 어른들의 유럽배낭여행 프로그램이 인기를 끈 적이 있다. 젊은이들처럼 걷고 먹고 즐기던 출연자들의 모습은 이른바 우리네 ‘할배, 할매’들의 여행 욕구를 제대로 자극해서 여행업계에 붐을 일으키기도 했다. 모든 고령자들이 이들처럼 건강하거나 용감할 수는 없겠지만, 이들을 위한 관심과 세심한 배려가 담긴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더 많은 어르신들이 훨씬 수월하게 여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번 호에서는 일본에서 고령자들이 가기 쉬운 숙소를 선정하고 추천해주는 시스템과 이를 통해 인증을 받은 숙소를 소개하고자 한다. 고령자를 위한 ‘실버스타’ 등록 제도 일본의 전국 료칸 생활 위생 조합 연합회(全国旅館生活衛生同業組合連合会, 조합원 약 2만 건)는 고령화 사회를 맞이해 고령자들이 가족, 혹은 단체로 여행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주시했다. 이에 대응해 만든 것이 실버스(타Silver Star) 등록제도다. 이 제도는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 및 관계 기관의 협조를 얻어 고령자를 위한 여행 서비스 및 시설의 증대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실버스타로 등록된 료칸이나 호텔은 ‘Silver Star’의 ‘S’와 하트 모양의 마
일본에는 셰어하우스보다 개인의 공간과 시간이 보장되고, 게스트룸보다 부대시설이 잘 갖춰져 있으며, 호텔보다 투숙객 간의 커뮤니티가 활발한 소셜 아파트라는 개념이 있다. 소셜 아파트의 공유 공간에서 만들어지는 가치에 주목해 여행객을 대상으로 만든 ‘호텔 그라피 네즈HOTEL GRAPHY NEZU’가 흥미롭다. (위) 공용라운지, (가운데) 공용 키친, (아래) 공용 옥상 새로운 주거 개념, ‘소셜 아파트’ 소셜 아파트는 조금 거창하게 말해 주거하는 사람의 세계관을 넓힐 수 있는 새로운 거주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공동 주거 형태인 셰어하우스와는 달리 자신의 시간과 공간을 아파트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 스타일이다.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면서 입주자들이 모이는 라운지 같은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즐길 수 있는 곳이 소셜 아파트다. 소셜 아파트에서는 일반 주거 공간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공유 공간에서 사람들의 교류를 통해 보다 풍부한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할 수 있다. 소셜 아파트라는 새로운 주거 개념을 일본에서 펼쳐온 주역이 바로 ㈜글로벌 에이전트グローバルエージェンツ이다. 글로벌 에이전트는 수도권에 35개동 1800세대의 주민 교류형 아파트인 ‘소셜
도시에서는 이제 수요가 드문 일본 료칸을 다시 조명하겠다는 것이 호시노야 도쿄의 목표다. 그리고 여기서 더 나아가 일본 료칸이 스시처럼 세계에서 사랑받도록 하겠다는 것이 호시노야 도쿄의 사명이라고 한다. 이는 호시노요시하루(星野佳路)대표가 지난 7월 20일 도쿄 중심에 호시노야 도쿄를 개업하면서 한 말이다. ‘마케팅이라는 것은 시장의 창조다.’라는 필립코틀러의 말처럼 과연 호시노 리조트는 새로운 시장을 창조하는데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1박 8~10만 엔의 도심 료칸은 세계시장에 통용될까? 세계적으로 유명한 외국계 호텔 및 일본을 대표하는 호텔이 대거 위치한 도쿄의 비즈니스 중심지 오오테마치(大手町)에 호시노야 도쿄(星のや東京)가 문을 열었다. 호시노 리조트는 국제적인 고급 호텔과 동급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일본 료칸에 있다고 확신하고, 일본을 상징하는 문화 콘텐츠로서 일본 료칸을 도심 한복판에 오픈한 것이다. 호시노야 도쿄의 콘셉트는 ‘타워형 일본 료칸’이다. 정원과 단층 구조의 목조 건물이라는, 가로로 전개되는 전통적인 료칸 스타일이 아닌 지하 2층, 지상 17층이라는 세로의 공간에 료칸의 요소를 전개해 탑처럼 높은 건물 안에 고급스러움을
도쿄(東京)는 일본의 중심이지만, 교토(京都)는 일본의 자부심이다. 교토는 미국의 유력 여행 잡지의 독자 투표에서 2년 연속 인기 도시 1위를 획득하는 등 명실공이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평가받고 있으나, 넘치는 관광객에 비해 부족한 숙박시설이 항상 문제로 지적돼 왔다. 이에 대해 교토시는 ‘양보다는 질’이라는 전략을 세우고 럭셔리 호텔 유치, 관광 콘텐츠 상품화에 팔을 걷고 나섰고, 이처럼 교토가 현재 안고 있는 문제 해결책을 대변하듯 등장한 호텔이 바로 ‘스이란(翠嵐) 럭셔리 컬렉션 호텔 교토’다. 세계 유산과 역사적 건축물의 만남 교토(京都)아라시야마(嵐山)의 호주카와(保津川)에 인접한 스타우드 호텔 & 리조트의 최고급 호텔 브랜드 ‘스이란(翠嵐) 럭셔리 컬렉션 호텔 교토’는 2015년 3월 오픈했다. 스타우드는 미국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호텔 운영사로 약 100개국에서 1200개의 호텔을 소유 및 운영하고 있다. ‘세인트 레지스’, ‘웨스틴’, ‘쉐라톤’ 등 우리에게도 친숙한 호텔 9개의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최고급 클래스로 자리매김한 ‘럭셔리 컬렉션'을 세계 30개국에 85개 이상을 보유 중이며, ‘스이란’은 일본 제 1호 럭
일본에 살다 보면 도쿄 한복판에 고래등 같은 집이 오랫동안 빈집으로 방치된 것을 심심치 않게 보게 된다. 이 빈집들은 자제들이 상속세를 내지 못해 골칫거리로 전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이런 문제는 도쿄뿐만 아니라 시골의 경우 더 심각하다. 상속세 문제에 시골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이 더해져 빈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완전히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한 사례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바로 ‘고민가 호텔 프로젝트’. 빈집을 일본의 생활 방식과 문화를 경험 할 수 있고, 시공을 초월한 역사적인 향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재해석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발전까지 도모하게 된 이 프로젝트는 가히 매력적이다.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빈집의 증가 빈집은 저출산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 도시에 집중되는 인구 이동 등으로 계속해서 증가 중이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3년 일본 총무성의 주택·토지 통계 조사에 따르면 일본 전국의 빈집 수는 820만 개에 이르며, 총 주택 수에서 차지하는 빈집 비율은 13.5%에 달해 약 8개 중 1개는 빈집인 상황이다. 특히 매매나 임대가 될 수 없을 정도로 가치가 떨어진 318만 채의 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