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3일 동안 보지 않기 닫기

2024.03.28 (목)

칼럼

[이재술의 Wine Tour] 프랑스의 남부 랑구독 루씨용(Languedoc-Roussillon)에서 북부 샹퍄뉴(Champagne)까지 유명 와이너리 탐방

삼성에버랜드 근무시절, 회사의 배려로 2002년 중앙대 와인소믈리에 과정을 1년 동안 공부할 기회가 있었다. 그래서 그 해 여름 월드컵이 끝나고 이태리를 거쳐 프랑스 부르고뉴의 샤블리까지 11일간 와인투어를 갔다. 그리고 15년이 지난 지금, 다시 프랑스를 찾게 돼 감회가 새로웠다. 이번이 다섯번째 세계 와인투어였는데, 이제야 와인의 그 깊고 넓은 세계를 조금 알 수 있는 듯하다.


점점 깊어지는 이 세계를 어찌 짧은 글로써 표현 할 수 있을까? 프랑스 와인의 떼루아(Terroir) 및 양조 전통을 이해하고 현지의 와인 테이스팅을 통한 와인의 맛과 멋을 알며, 미쉐린(Michelin) 스타 레스토랑의 음식의 맛과 와인판매, 테이블 세팅등 문화체험을 하는 소중한 기회였다. 프랑스 북토의 남부에서 북부까지 종단하기에는 짧은 기간이기에 바쁘게 움직였다. 하나라도 더 보기 위해.


남프랑스의 전설로 불리는 제라드 베르트랑(Gerard Bertrand)

처음 방문한 곳은 랑구독의 제라드 베르트랑이다. 이곳은 늦가을로 접어드는 시기였고, 포도를 수확해서 첫 발효를 시작했다고 한다. 첫날은 몽펠리에에서 조금 올라간 나르본(Narbonne)의 제라르 베네트랑 본사인 이곳의 와인을 생산하는 샤토 호스피탈레(Chateau D'Hospitale)에서 투숙했다. 다음날은 양조장 시갈루스(Cigalus), 클로도라(Clos d’Ora)를 방문했고, 오후에 샤토 호스피딸레의 Master class에서 클로 도라와 화이트 와인 시갈루스 등 10가지의 테이스팅을 실시했다.


제라드 베르트랑은 13개의 샤토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곳 호스피탈레는 양조장, 객실 38개와 테이스팅룸, 레스토랑, 아트 작품 전시실을 운영, 여러 나라의 고객들이 이미 숙박을 하고 있었다. 제라드 베르트랑은 특이하게 랑구독에 위치하고 있지만 각 와인너리의 특성을 살려 명칭을 붙이고 있었는데, 샤토 호스피딸레(샤토 7곳), 시갈러스, 도메인 드 빌마조(Domaine de Villemajou), 클로도라의 이름을 붙이고 있었다.



✽ 와이너리, 양조장을 보르도에서는 샤토(Chateau) 부르고뉴에서는 Clos(울타리를 친, 포도밭), 혹은 Domain(특히 옛날 개인, 정부 등의 소유지)이라 부른다.




평화, 사랑, 조화
이번 투어로 인해 프랑스 남부 지방인 랑그독이 뛰어난 품질과 지중해성 기후로 특급 와인 산지로 각광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프랑스에 위치한 랑그독 루시용 지방은 지중해 연안 지역이며 온화한 겨울을 동반한 반건조성 지중해 기후가 특징이다. 기원전 600년부터 포도를 재배했으며, 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는 주로 편하게 마실 수 있는 와인을 생산하고 있었다.


랑그독 루시용은 2000년대 들어 또 다른 명성을 서서히 얻기 시작했다. 평범한 와인을 생산하던 랑그독을 보르도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명품 산지로 올려놓은 인물이 바로 ‘랑그독의 황제’로 불리는 제라드베르트랑(Gerard Bertrand·53)이다. 이 날 제라드 베르트랑의 클로 도라 2013(Gerard Bertrand, L’Hospitalitas AOP La Clape Coteaux du Languedoc 2013)을 테이스팅했다. 클로 도라(Clos d’Ora)의 오라(Ora)는 기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클로 도라는 ‘기도의 밭’이라는 뜻이다. 이 와인은 완성시키는 데 무려 17년이나 걸린 제라드베르트랑의 명품 와인으로 1년에 만 병만 생산된다.


랑그독 내 미네르부아(Minervois) 지역에서 생산된 프랑스 남부 대표 품종, 그르나슈, 시라, 무르베드르, 카리냥을 섞어 만든다. 그르나슈는 과일향이 풍부하고 알콜도수가 높아 와인에 묵직한 바디감을 주지만 산도가 낮아 와인이 일찍 늙어 버려서 산도가 높고 카베르네 쇼비뇽을 능가하는 스파이시한 캐릭터를 지닌 시라와 무르베드르를 섞어 블렌딩한다.


포도밭은 모두 바이오다이나믹 농법(Bio Dynamic Farming, 어떤 화학적인 물질도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법을 넘어서서 월력(月曆)에 따른 농사짓기와 자연의 기운을 담아 와인 메이킹하는 것)으로 경작하며 포도는 밭 별로 다시 분리해 이에 따라 침용과 발효를 진행한다. 이 와인은 12개월간 프랑스산 오크통에서 숙성이 진행된다. 블랙커런트, 블랙베리 등 농익은 검은 베리류의 향과 함께 연기, 담배, 가죽향이 느껴진다. 살짝 얹은 바이올렛, 장미, 민트, 미네랄 향이 와인의 고급스러움을 더한다.



와인을 목으로 넘긴 뒤에도 달콤한 베리향이 오래 입안에 남아 있다. 향, 바디감, 산도 등 와인의 모든 요소가 조화롭고 균형미 있게 어우러져 있다. 기도의 밭이라는 와인 이름처럼 이 와인의 메시지는 평화, 사랑, 조화라고 한다. ‘클로도라’는 다음날 아침 다시 테이스팅을 했는데도 그 파워가 살아있는 것이 대단해서 그랑크뤼급 와인과 비견할 정도의 와인이라 생각한다.


스포츠맨십, 경영에 접목
제라드 베르트랑의 와인들은 각기 다른 개성을 보여주며 동시에 프랑스 남부 작은 마을의 각기 다른 개성의 떼루아를 잘 표현해 주고 있었다. 베르트랑은 젊은 시절 프랑스 프로 럭비 팀의 촉망 받는 선수였다. 190cm 장신의 거구인 그에게 럭비는 딱 맞는 운동이었다. 선수 생활을 하던 그에게 인생의 전환기가 찾아온다.


22살이던 1987년 부친 조지 베르트랑이 갑작스런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베르트랑이 부친이 운영하던 소규모 와이너리인 도멘 빌마주에서 막 와인 일을 배우기 시작하게 된 것. 그는 아버지에 대해 이렇게 회고했다.


“부친이 돌아가시고 갑작스럽게 가족 사업을 물려받아 와인업계에 발을 들여 놓았다. 10살 때 아버지가 도멘 빌마주에 데려가 포도 수확과 와인 메이킹 기술을 가르쳐 주시던 기억이 있다. 이 때 아버지로부터 ‘와인은 기술이 아닌 열정으로 만든다’는 것을 어렴풋하게 느낄 수 있었다. 이 작은 경험이 오늘날 성공으로 이어진 디딤돌이 됐다.”


그가 와이너리를 맡으면서 가족경영 와이너리는 새 국면을 맞이한다. 럭비에서 익힌 룰과 팀워크를 중시하는 스포츠맨십을 경영에 접목한다. 아울러 자신의 고향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와인 제조에 변혁을 가져온다.


유기농, 바이오다이나믹 농법 사용
바이오다이나믹스 와인, 다른 말로 생체역학 와인은 인공비료나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고 포도를 재배할 뿐만 아니라 나무의 상태와 생장되는 주기를 계산해가면서 재배한 포도열매로 양조를 한 와인을 말한다. 생체역학 와인을 생산하는 와인 생산자들은 오스트리아의 유명한 철학자인 루돌프 슈타이너가 수립한 원칙을 따르며 포도 나무의 생체리듬을 맞춰서 가지를 치고, 비료도 주기를 맞춰 주는 등 꼼꼼하게 재배를 한다.


녹차, 나뭇잎 등을 말려서 녹인 물을 주며 영양분을 공급해 극소량의 유향, 또는 구리혼합물 외에 일절 화학약품이나 인공적인 비료, 그리고 어떠한 살충제나 제초제 등도 사용하지 않으며 농기계도 사용하지 않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밭을 갈고 있었다. 와인의 도수를 올리기 위해서 당분을 인위적으로 첨가하지도 않으며 100% 자연의 효모로만 발효한다.


포도나무에 음악을 들려줘 포도나무가 안정적으로 편안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거나, 포도 덩굴을 어루만지며 잘 자라라는 주문을 외우는 경우도있다. 와인 역시 자연의 산물이기 때문에 이들의 작업에 찬사를 보내고 싶다.


그는 “보르도가 오랫동안 프랑스 와인의 전통을 만들어 왔지만 미래는 남프랑스에 있다고 확신 한다. 보르도는 유명세 때문에 지나치게 가격이 비싸다. 남프랑스를 대표하는 랑그독 와인은 가장 진보적인 트렌드인 유기농과 바이오 다이나믹 농법을 사용한다. 이런 랑그독이 어떻게 빛을 보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고 힘 있게 말했다.


남프랑스 와인 철학 담은 책 출간
또 1992년 자신의 이름을 따 제라드 베르트랑 와이너리를 설립하고 프랑스 오드 지역의 ‘도멘 드시갈루스(Domaine de Cigalus)’와 에로 지역에 여러 와이너리를 매입해 확장한다. 아울러 1993~1994년 럭비 팀 주장까지 맡아 운동과 와인 사업을 병행했다.


베르트랑 대표는 “럭비에서 배운 팀워크와 승리에 대한 목표와 전략이 와이너리 경영에 큰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가 만든 여러 와인이 평론가로부터 90점 대의 눈에 띄는 점수를 받는다. 와인 애호가들 사이에서 “바이오다이나믹 농법을 접목한 랑그독에서 프리미엄 와인이 나올 수 있다.”는 목소리도 서서히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 제라드 베르트랑 와인은 125개국에 수출한다. 20년 전 20여 개국에 비하면 괄목할만한 성장이다. 그와 250여 명의 직원이 하나의 럭비 팀 처럼 완벽한 호흡을 맞추고 있다. 지난해 2월에는 그의 남프랑스 와인 철학을 담은 ‘와인, 달과별(Wine, Moon and Star)’을 출간했다. 와인은 장기 숙성이 가능할 만큼 훌륭한 파워를 갖고 있다.




또한 제라드 베르트랑의 와인은 기존 프랑스 와인과 다르게 라벨에 와인 설명을 쉽게 풀이한다. 신대륙 와인처럼 편안하고 소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라벨에 표기한 것도 작은 배려이기도 하다. 또한 특이한 점은 제라드 베르트랑이 추구하는 철학인데 세계적인 럭비선수에서 와인전문가로 전향을 한 그는 ‘생활 속의 문화와 예술’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와이너리가 속한 지중해 문화권에서 와인과 함께 예술을 전도하고자 하는 소명을 갖고 매년 5일 동안 와인 재즈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기도 하다. 그 축제기간 동안 그는 ‘음식과 음악, 예술 그리고 와인을 즐길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그의 철학은 분명 그 와인에도 반영이 돼 ‘제라드 베르트랑의 와인은 단순히 먹고 마시는 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그 순간을 진정으로 즐기고, 함께하는 이들과 행복을 공유하길 원하는 이들을 위해 안성맞춤인 와인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든다.


그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제라드 베르트랑 그들이 추구하는 철학은 분명하다. 음식, 음악, 예술, 그리고 와인. 특별할 것 같은 키워드지만 생활 속에서 우리가 항상 추구하는 것들이다. 맛있는 음식과 좋은 음악 그리고 좋은 와인 이것이 함께 한다면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있는 그 시간이 너무나도 즐거울 것이며, 그 자체가 바로 예술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프랑스 북부 론의 3대 거장
프랑수아 빌라르(Francois Villard)


‘프랑수아 빌라르’는 프랑스 론 북부지역 와인의 르네상스를 이끈 3대 거장인 ‘프랑수아 빌라르’의 와이너리(포도주 양조장)로 1989년에 설립됐다. 셰프 출신인 ‘프랑수아 빌라르’는 절제력 있는 숙성 기술과 제한된 오크 에이징을 통해 자신만의 와인 스타일을 창조했다. 또 포도나무를 유기농 방식으로 재배하는 친환경적인 와인메이커다.


특히 ‘프랑수아 빌라르’는 ‘2016년 프랑스 미쉐린 가이드’에 등재된 3스타 레스토랑 25개 중 18개 레스토랑에 리스팅된 실력파 와인이며, 소량 생산되고 있어 와인 마니아들에게 귀한 와인으로 불린다. 레드와인은 ‘라펠 데 세렌(L'Appel des Sereines)’ 등 시라 품종의 와인이다. 화이트와인은 ‘꽁뚜르 드 드뽕상(Contours de Deponcins)’ 등 미네랄과 열대과일향이 풍부하며 꽃 향과 맛의 조화가 특징이다.


이곳은 론(Rhône) 강을 끼고 있으며 경사진 곳에 포도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입구는 작았지만 발효조는 대형이라 놀랐고 멀리 산비탈에 이기갈의 간판과 포도나무가 보였다. 2002년 방문 시기억에 남는 와이너리라서 이번엔 들리지 못했지만 간판만으로도 반가웠다.


미국인이 만든 부르고뉴 본(Beaune),
알렉스 감발(Alex Gambal)


본 시내에 있는 부르고뉴 와인의 '알렉스 감발'을 방문했다. 부르고뉴 와인은 프랑스 전체 와인 생산량의 1%에 불과한 희소성 있는 와인이다. 이에 다시 한 번 놀랐으며 ‘알렉스 감발’은 그 중에서도 특히 희소성이 높은 와인으로 알려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6만 병에 불과하며, 국내에는 800여 병 정도만 들어오는 와인이다.


이 와인은 미국 워싱턴 D.C 출신인 ‘알렉스 감발’이 1990년대 후반 부르고뉴 지방에 설립한 네고시앙에서 시작됐다. 특히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프랑스 부르고뉴 지역 내에서는 항상 이방인의 이미지가 있었다. 20여 년에 걸쳐 일관성 있게 좋은 품질의 와인을 생산해 제품력을 인정받아 여타 부르고뉴 와인보다 더 유명해졌다.


알렉스 감발 부르고뉴 피노누아는 부드럽고 순수한 붉은 과일의 맛과 향, 풍부한 타닌이 특징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훌륭한 맛을 띈다. 알렉스 감발 부르고뉴 샤르도네는 산도, 미네랄의 조화가 잘 이뤄져 풍부한 과일 향과 함께 복합적인 맛을 자랑한다. 부르고뉴 와인은 생산량이 매우 적어 대중화되지는 않았지만 그 맛이 매우 복합적이며 오묘해 와인애호가들은 부르고뉴의 피노누아 품종을 많이 찾는다.


피노누아의 풍부한 과일 향과 그 빛깔은 정말 대단한 매력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와인 애호가들은 여러 가지 품종을 거쳐서 거의 마지막엔 피노누아와 샴페인을 찾게 되는 것이다. 다음날 알렉스 감발에서 운영하는 포도밭을 방문했다. 샤샤뉴 몽라쉐, 바타르 몽라쉐 등 황금벌판을 직접 방문 하니 그 감동은 어찌하랴.


그 감동을 안고 저녁에는 미쉐린 2스타 샤토 루즈(Chateau LOUGE)를 방문했다. 천장의 장식, 벽면의 편백나무, 테이블에 놓인 백합 한 송이는 이미 필자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음식의 맛은 생각만큼 담백한 프렌치 음식 그대로였다.


음식을 충분히 맛 본 후 나폴레옹이 즐겨 마셨다는 제브리 샹베르탕을 맛보기도 했다. 또 알렉스 감발의 Chardonnay 100%인 사샤뉴 몽라쉐(Alex Gambal Chassagne Montrachet)를 테이스팅했다. 잘 익은 과일, 바닐라향이 은근하게 느껴지며 크림처럼 부드럽고, 시트러스와 함께 신선함과 생동감이 살아있으며 풍부한 와인의 개성이 잘 느껴진다. 긴 여운과 함께 풍부함이 은근하게 느껴지는 와인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무려 30가지를 테이스팅했다.


샴페인의 고장 랭스(Reims) 떼땅져(Taittinger)


샹퍄뉴의 랭스에 위치하고 있는 떼땅져 와이너리도 방문했다. 떼땅져는 1734년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 설립된 샴페인 하우스를 ‘삐에르 떼땅져’가 계승한 것으로 지금까지 전 세계 150여 개국에서 550만 병이 소비되는 고급 샴페인 브랜드다.


특히 여성들이 좋아하는 스타일로 만드는 것이 특징인데, 샴페인을 만드는 주요품종인 샤르도네, 피노누아, 피노 무니에르를 골고루 블렌딩해 만든 떼땅져 녹턴은 영롱한 금빛과 섬세한 기포를 발산하며 크림 같은 질감과 상쾌한 풍미가 아주 돋보이는 샴페인이다.


이날 테이스팅한 것 중에 떼땅져 꽁뜨 드 샹빠뉴 로제 2006(Taittinger Comtes de Champagne Rose)는 Pinot Noir 70%, Chardonnay 30%로 떼땅져 최고의 와인이며 특별히 좋았던 해에만 생산했다고 한다. 또 프리런 주스만을 사용하고, 100% 그랑크뤼 밭에서 생산된 포도만을 사용 한다고 전한다. 테이스팅을 해 보니 역시 느낌이 좋았고, 야생베리, 아몬드, 감초 힌트, 장미향과 우아함, 파워풀, 오일리 텍스처, 고급스러움이 넘쳐났다.




마지막 날 파리 시내 벼룩시장에 들려서 LP 수집이 취미인 필자는 ‘DI CONDOR PASA' LP판도 한 장 구입하고 아주 골동품인 새끼 손까락만 한 와인스크루우도 하나 구입했다. 또 파리에서 제일 크고 유명한 와인 숍‘LAVINIA’에도 방문해 프랑스 와인산지 지도와 와인 악세서리 등을 구입하며 투어의 마지막날임을 실감했다.


만났던 그 어떤 것도 모두 기억하고 싶어 작은 와인 악세서리 하나에도 의미를 찾으며 보게 됐다. 하나하나 의미 있게 기억될 이번 와인투어를 통해 느낀 산 경험을 짧은 글로나마 전달하고 싶고, 이러한 경험으로 우리나라, 그리고 서원밸리컨트리클럽만의 독특한 와인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Life is too short to drink bad wine.”


이재술
서원밸리컨트리클럽 와인엔터테이너
호텔신라와 삼성에버랜드 안양베네스트골프클럽에서 와인소믈리에로 근무했으며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에서 <계층간 소비태도가 와인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로 관광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와인소믈리에 1년 과정, 프랑스 보르도 샤토마뇰 와인전문가 과정(Connaisseur)을 수료했다. 2004~2006년 안양베네스트골프클럽 근무 때는 안양베네스트가 18홀임을 감안해 1865와인의 ‘18홀에 65타 치기’ 스토리텔링을 처음으로 만들어서 와인문화를 보급하는데 앞장서기도 했으며, 현재는 서원밸리컨트리클럽에서 와인으로 고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와인소믈리에이다.




배너
배너

배너



Hotel&Dining Proposal

더보기